가상자산 (CG). 사진=연합뉴스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국내 자산자산 시장의 시가총액과 거래가능 이용자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정보분석원은 20일 24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가상자산 시장 현황 파악을 위해 25개 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2023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가상자산 가격상승 및 시장규모 확대 추세는 ’24년 하반기에 강화됐다. 지난해 하반기 거래규모·영업이익·이용자 등이 상반기 대비 모두 증가했으며, 특히 시가총액과 예치금이 많이 늘었다.
거래가능 이용자는 지난해 상반기 778만 명에서 하반기 970만명으로 192만명(25%) 증가했다. 하루평균 거래규모는 지난해 상반기 6조원에서 하반기 7조3000억원으로 1조 3000억 원(22%) 늘었다. 같은기간 영업이익은 지난해 상반기 5813억원에서 하반기 7415억원으로 1602억원(28%) 뛰었다.
시가총액과 가상자산 종목수도 증가세를 보였다. 시가총액은 지난해 상반기 56조5000억원에서 하반기 107조7000억원으로 두배 가까이 증가했다. 가상자산 종목수는 1207개에서 1357개로 소폭 증가했다. 가격변동성은 70%에서 68%로 2%포인트 줄었다.
시장 활황세에도 코인마켓의 거래규모·시가총액·영업이익은 감소했다. 원화마켓 솔림 현상과 일부 코인마켓 사업자가 영업을 종료하면서다.지난해 하반기 기준 코인마켓의 하루평균 거래규모는 1억 6000만 원으로, 상반기(8억2000만 원) 대비 6억6000만원(81%)줄었다. 연말기준 시가총액은 1179억원으로 6월말보다 276억원(19%)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137억원에서 126억 원으로 줄었다.
가상자산의 외부 이전 금액이 증가한 가운데, 트래블룰 적용대상은 소폭, 화이트리스트 적용대상은 대폭 증가했다.지난해 하반기 기준 가상자산 거래업자의 외부이전(출고)금액은 96조 9000억 원으로 상반기(74조8000억원)대비 30% 증가했다. 트래블룰 적용 금액은 19조 400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18조7000억원)보다 4% 늘었다. 같은 기간 화이트리스트 적용금액은 54조8000억 원에서 38% 늘어난 75조9000억 원을 기록했다.
한편, 보관·지갑 사업자의 총 수탁액과 이용자 수는 매우 감소했다. 일부 사업자의 영업종료와 기준가격 하락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말 기준 보관·지갑업자의 총 수탁액은 1조 5000억원으로 6월말(13조8000억원)대비 12조3000억 원(89%)줄었다. 고객확인(KYC) 절차를 완료한 이용자 수는 같은 기간 19만 7000명에서 1300명으로 99% 급감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