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정은효 교사 "초등학교 금융교육 아직 미비해...교사 지원 필요"

▷필수 아닌 권장 사항에 머물러
▷예산 편성 등 금융교육 방향성 제안

입력 : 2025.03.17 16:54
정은효 교사 "초등학교 금융교육 아직 미비해...교사 지원 필요" 정은효 서촌초등학교 교사는 17일 은행회관 국제회의실 2층에서 2025년 OECD '국제 금융교육 주간' 금융교육 활성화 세미나에서 '초등학교 교과과정에서의 금융교육 현황 및 과제'를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위즈경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초등 교육과정에서 금융교육은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관련 교육을 진행하는 교사들에 대한 지원을 통해 아이들이 교육바다에 항해하는 친구들이 되길 바란다"

 

정은효 서촌초등학교 교사는 이날 은행회관 국제회의실 2층에서 2025년 OECD '국제 금융교육 주간' 금융교육 활성화 세미나에서 '초등학교 교과과정에서의 금융교육 현황 및 과제'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국가에서 경제금융 교육에 대해 필수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지 않다"며 "자율적으로 권장하다 보니 대부분 학교에서 관련 교육을 하고 있지 않다고 봐도 무방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세미나는 학교 금융교육 활성화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양한 시각으로 함께 모색하는 의미 있는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마련됐다. 

 

현재 경제금융교육의 위상은 사회적 분위기에 흔들리고 있다. 정은효 교사가 2023년에 쓴 '사회과 유형화 논의 측면에서 본 경제 수업의 성격 분석'에 따르면, 교총 연구대회에서 입상한 경제금융교육 관련 보고서는 2000년대 144개에서 2020년 이후 11개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그는 "이 자료는 2005년에서 2007년 사이 교육부에서 금융교육에 관련해 관심을 많이 기울렸다는 방증"이라면서 "당시 신용카드 사태로 아이들에 대한 조기 경제 중심 교육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금융교육이 활성화 됐던 시기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경제금융 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화폐, 인플레이션, 통화량과 같은 경제 용어를 교과서로 알려주는 것은 어렵다"며 "경제 금융교실을 통해 이런 용어를 자연스럽게 체득하게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초등 금융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경제금융교실프로젝트 메뉴얼 구체화 △경제금융교실 실천 학급에 대한 지원 등을 제안했다. 

 

그는 "전문가들의 자문이 담긴 경제금융교실 프로젝트 메뉴얼을 현장 선생님에게 배포하면 좀 더 질 높은 교육을 선생님이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경제금융교실 수업과 관련된 예산이 부족하다보니 다른 예산을 짜내서 활동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며 "국가 차원에서 예산 편성을 해준다면 선생님들이 더욱 활발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