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전산화·대체거래소 출범 앞두고...금감원, 증시 인프라 개선 위한 토론 열어
▷공매도 관리 시스템·복수시장 주문 배분 전략 등 논의
▷이복현 원장 "공정하고 투명한 금융 패러다임 구축할 것"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0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증시 인프라 개선 관련 열린 토론'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정부가 공매도 전산화와 대체거래소(ATS) 출범을 앞두고 증시 인프라 개선을 위한 열린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공매도 관리 시스템, 대체거래소 도입 효과, 복수시장 주문 배분 전략 등이 논의됐다.
금감원은 20일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증시 인프라 개선을 위한 열린 토론'을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공매도 전산화 및 대체거래소 출범에 앞서 여러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사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학계, 개인·기관·외국인투자자 패널 및 방청객 등이 참여한 이번 토론회에는 △모두발언 △주제 발표 및 자유토론 △마무리발언 순으로 진행됐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모두발언에서 "공매도 전산화와 대체거래소 출범으로 글로벌 투자자들에 대한 우리 사증의 매력도가 제고될 것이 자명하다"면서 "금융당국은 증시 인프라 혁신과 성공적 정착을 위해 감독역량을 집중해 공정하고 투명한 금융패러다임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B증권은 이날 토론에서 공매도 잔고관리 시스템의 독립거래단위 등록·승인·담당직원·운용상품을 통합 관리하고, 무차입공매도를 사전 차단하는 효과를 설명했다. 또 거래소의 중앙점검시스템(NSDS) 보고 체계도 전했다.
넥스트레이드는 대체거래소(ATS) 출범에 따른 투자환경 변화를 발표했다. 주식투자 규모확대, 투자자수 증가, 증권상품 다양화 등 ATS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12시간 경쟁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넥스트레이드(NXT)의 경쟁력도 강조했다.
키움증권은 복수시장에서의 주문 배분시스템 운영방향을 발표했다. 복수 거래소 환경 하에서 '최선 조건인 거래소'로 최적 주문을 판단하고 주문내역을 기록하는 SOR 시스템도 소개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폴앤톡] 한국거래소 운영 만족도 및 실태조사
2“소수가 저지른 잘못을 다수에게 전가하는 게 사회 정의냐”…울분 토한 주주들
3주주연대, “1400만 개인 투자자 목소리 외면 말아달라”
4경영계, "불안정한 환율, 선제적 대응 무엇보다 중요"
5美 정책금리 동결에... "면밀히 주시"
6[인터뷰] 알맹이 빠진 상장폐지 개선방안...소액주주, "투자자와 주주 소외된 정책" 비판
7美 대선 이후 해외투자 가속화... "韓 금융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8금융당국, 자본시장 밸류업 위한 세미나 개최…자본시장 밸류업 강조
9환율, 오르면 오를수록 경제에 악영향끼쳐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