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활짝 웃은 극장가…이유는?
▷최근 중급 K무비의 선전으로 극장가 활기 찾아
▷영진위, “7월 한국 영화 매출액과 관객 수 팬데믹 이전 수준의 회복세 보여”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최근 극장가에서 중급 K무비의 선전과 함께 한국 영화 산업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영화진흥위원회는 22일 ‘2024년 7월 한국 영화산업 결산’을 발표하며, “’탈주’, ‘탈출:프로젝트
사일런스’, ‘파일럿’ 등 신작 개봉과 더불어 6월에 개봉한 ‘핸섬가이즈’의
흥행으로 7월 한국 영화 매출액과 관객 수가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7월 한국 영화의 매출액과 관객 수 기준으로는 팬데믹 이전
수준의 회복세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 7월 한국 영화의 매출액은 534억 원으로 팬데믹 이전인 2017~2019년 7월 한국 영화 매출액 평균(408억 원)의 130.7%(1.3배) 수준이었으며, 전년 동월 매출액(316억 원) 대비 68.8%(218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7월 한국 영화 관객 수는 562만명으로 2017~2019년 7월 한국 영화 관객 수 평균(520만명)의 108.2%(1.1배) 수준이었고, 전년 동월 관객 수(332만명) 대비 69.0%(230만명) 늘었습니다.
이 같은 성과의 배경으로는 한국 영화의 약진이 꼽히고 있습니다.
지난해 7월의 경우 ‘밀수’ 외에는 이렇다 할 한국 영화 개봉작이 없어 한국 영화 매출액 점유율이
22.6%에 그치면서 여름 시장 흥행 성적이 부진했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탈주’, ‘탈출:프로젝트 사일런스’, ‘파일럿’, ‘핸섬가이즈’ 등 중급 한국 영화들이 선전하면서‘ 한국 영화 매출액 점유율은 46.3%, 한국 영화 관객 수 점유율은 46.7%를 기록했습니다.
아울러 외국 영화의 흥행이 부진했다는 점도 한국 영화의 존재감을 키우는 요인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7월 외국 영화의 흥행은 두달 전 개봉한 ‘인사이드 아웃2’를 제외하면 두드러지지 않았으며, 7월 개봉한 ‘데드풀과 울버린’ 역시
전작에 미치지 못하는 흥행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로 인해 ‘엘리멘탈’과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등의 흥행장을 낳았던 전년 동월 대비 올해 7월
외국 영화 매출액과 관객 수는 감소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구체적으로 7월 외국 영화 매출액은
619억원으로 2017~2019년 7월 외국
영화 매출액 평균(1322억 원)의 46.8% 수준이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42.9%(465억 원) 감소했습니다.
관객 수의 경우, 641만명으로
2017~2019년 7월 외국 영화 관객 수 평균(1582만명)의 40.5% 수준이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41.5%(454만명) 줄었습니다.
이에 대해 영진위는 “’인사이드 아웃2’가 두달 연속 박스오피스 1위로 집계되었음에도 다른 외국 영화는
크게 흥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코로나 기간 급성장한 OTT의
영향력이 여전하지만, 최신 극장 개봉작은 극장을 직접 방문해 관람하는 소비자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소비자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지난 4월 진행한 ‘영화 소비자 행태 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소비자가 경험한 영화 시청 방식(복수응답)은 OTT가 74%로 극장
관람(66%)을 앞섰습니다.
다만, 최신 극장 개봉작의 경우, ‘극장에
가서 보는 편’이라는 응답이 37%로 ‘OTT에 공개되면 보는 편’이라는 응답(33%)보다 많았습니다.
컨슈머리포트는 “OTT 영화 시청이 대세이긴 해도 최신 영화 관람을
위해서는 직접 극장을 찾아가는 사람이 더 많은 셈이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장르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액션, SF, 판타지 등 스케일이 큰 영화는 주로 극장에서 관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드라마, 로멘스, 코미디, 애니 등은 집에서 OTT로 시청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극장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이유로는 ‘대형 스크린과 음향 때문’이라는 응답이 63%로 가장 높았으며, ‘몰입이 잘 되는 환경 때문’ 41%, ‘최신 영화를 가장 먼저
볼 수 있어서’ 41%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극장이 아닌 다른 곳에서 보는 이유로는 ‘언제 어디서든 영화를 볼 수 있어서(70%)’가 1위를 차지했으며, ‘극장의 티켓 가격이 비싸서’ 39%, ‘극장을 방문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28% 등이 꼽혔습니다.
이는 ‘시·공간의 제약’이
극장을 멀리하는 가장 큰 이유지만, OTT 월 이용료보다 비싼 ‘극장
티켓값’도 고객 이탈에 한몫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