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올해 2분기 영업이익 353억원 기록…흑자 기조 유지
▷CJ ENM, 2024년 2분기 매출 1조 1647억원, 영업이익 353억원 기록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CJ ENM은 한국채택국제회계(K-IFRS) 연결기준으로 2024년 2분기 매출 1조 1647억원, 영업이익 353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CJ ENM은 “엔터테인먼트
사업은 티빙의 유료 가입자 증가와 美 스튜디오 피프스시즌(FIFTH SEASON, FS)의 딜리버리
확대를 통해 흑자 기조를 이어갔으며, 커머스 사업은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중심의 원플랫폼2.0전략이 순항하며 영업이익이 대폭 신장됐다”고 밝혔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미디어플랫폼 부문은 ‘눈물의 여왕’과 ‘선재 업고 튀어’ 등
시청률과 하제성을 모두 잡은 프리미엄 콘텐츠의 선전과 ‘2024 KBO 리그’, ‘여고추리반3’ 등 고성과 콘텐츠 라이브러리 확대로 유료가입자를
끌어 모은 티빙 효과에 힘입어 전년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2024년 2분기 매출은 3529억원, 영업이익은 165억원을
각각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티빙의 유료가입자수는 전년동기 대비 29% 증가했으며, 모바일인덱스 기준 2분기 MAU는 740만을 돌파해 국내 1위 글로벌
OTT의 MAU를 턱 밑까지 추격했습니다.
올해 2분기 티빙의 매출액은 1년
사이 41% 증가한 1079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영화드라마 부문은 글로벌 시장 내 프리미엄 콘텐츠 판매가 강화되며 매출이 전년대비 25.3% 증가한 2876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손실은 182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피프스시즌은 애플TV의 화제작 ‘세브란스(Severance) 시즌2’와 ‘레이디
인 더 레이크(Lady In The Lake)’를 공급했으며, 독보적인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영국 BBC의 히트작 ‘킬링 이브(Killing Eve)’와 ‘더 나이트 매니저(The Night Manager)’의 유통을 전담해 추가 수익을 창출했습니다.
또한 ‘눈물의 여왕’, ‘선재
업고 튀어’ 등 화제의 드라마를 향한 글로벌 OTT와 로컬
채널의 러브콜이 이어졌으며, 히트 IP의 글로벌 팝업과 팬미팅
등 다양한 부가사업 기반 수익 다변화도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음악 부문은 자체 아티스트 선전과 글로벌 신규 아티스트의 성공적인 데뷔를 발판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2분기 매출 1523억원, 영업이익 4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데뷔 이후 발매하는 앨범마다 ‘밀리언셀러’를 기록한 5세대 대표 보이그룹 ‘제로베이스원(ZEROBASEONE)’은 미니 3집(초동 판매량 135.3만장)의
활동으로 음악 사업 매출 성장에 톡톡히 기여했습니다.
또한 일본 대표 스타로 자리잡은 ‘JO1’과 ‘INI’ 외에도 ‘ME:I’와 ‘IS:SUE’
등 신규 아티스트의 성공적인 데뷔로 음악 사업 글로벌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커머스 부문은 매출 3719억원, 영업이익 275억원으로 2분기 연속 전년대비 외형 및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습니다.
특히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취급고가 전년대비 108% 신장,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중입니다.
이는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중심의 원플랫폼2.0 전략이 시장 내 대세감을
형성하며, 인스파이어 리조트, 로보락, VT코스메틱 리들샷 등 신규 라이징 브랜드 발굴 경쟁력이 대폭 강화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지난 4월 진행한 CJ온스타일의
상반기 대형 프로모션 ‘컴온스타일’도 역대급 흥행을 기록하면서
멤버십 개편 효과와 맞물려 고객 저변 확대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CJ ENM 관계자는 “티빙이
가입자와 트래픽이 동시 증가하는 가운데 피프스 시즌의 콘텐츠 공급 확대, 아티스트의 글로벌 선전에 힘입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며 “하반기에는
프리미엄 콘텐츠 라인업 강화를 통해 플랫폼 경쟁력을 제고하고 콘텐츠 유통 전략 다각화를 통해 수익성 극대화에 집중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