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2분기 총매출 증가세... '카카오페이' 효자 노릇 톡톡
▷ 플랫폼 매출 약 9천 5백억, 콘텐츠 1조 5백억
▷ 플랫폼 성장세, 콘텐츠 부문 상회... '카카오페이' 중심
▷ 게임과 픽코마 등에서는 부진
경기도 성남시 판교 아지트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카카오의 올해 2분기 총매출이 전년동기대비 4%, 전분기 대비 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기순이익이 870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9% 성장했습니다.
1조 9천억 원의 손실을 낸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셈인데요.
플랫폼의 매출이 약 9천 5백억
원으로 전체 비중의 48%를 차지했고, 콘텐츠 매출은 1조 5백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크기로 보면 콘텐츠의 매출이 플랫폼에 비해 우위를 보이긴 했습니다만, 성장세는
플랫폼 쪽이 양호합니다. 전년동기와 비교했을 때, 2024년 2분기 플랫폼 부문의 매출은 10% 증가한 반면, 콘텐츠는 0.4% 감소했습니다.
눈에 띄는 부분은 ‘카카오페이’입니다. 카카오의 플랫폼은 광고, 카카오스토리,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페이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카카오페이의 경우 2분기 거래액이 41.1조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0% 증가했습니다. 카카오페이 서비스 전 영역 매출이 1,855억 원, TPV(Total Payment Volume, 거래액)가 12.1조 원으로 두 자리 수의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금융 서비스 매출의 증가세가 두드러집니다. 금융 서비스 매출은 55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 늘어났는데요.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카카오페이의 당기순이익은 6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2분기 연속 흑자입니다. 카카오페이의 월간 사용자 수는 2,465만 명으로, 결제·금융·송금 서비스의 유저당 거래건수는 전년동기대비 11% 늘어났습니다.
플랫폼 부문 중 ‘광고’와 ‘커머스’의 올해 2분기 매출은 각각 3천억 원, 2천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광고의 경우, 비즈니스메시지·채팅목록형 광고 매출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9% 성장했고, 통합거래액 2.4조 원을 기록한 커머스는 매출이 5% 증가했습니다.
카카오의 콘텐츠 부문에선 ‘게임’과
‘픽코마’가 부진했습니다.
카카오게임즈가 내놓은 새로운 게임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전년동기대비 매출이 13% 감소한 2천 3백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카카오가 운영 중에 있는 일본 내 웹툰·전자 만화사업
플랫폼인 픽코마는 매출이 줄어들었을뿐더러, 엔저의 영향을 받아 흔들렸습니다. 카카오는 픽코마의 부진에 대해 “올해 1분기에는 누적 거래액 500억
엔 돌파 및 이용자 지표 사상 최고치 경신”했다며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해 경쟁력을 제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게임에 대해서는 크로노 오디세이, 아키에이지2 등의 신작을 2025년에 런칭하겠다며 턴어라운드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콘텐츠 부문 중 미디어와 뮤직의 매출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미디어의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2% 증가한 9백억 원을 기록했으며, 뮤직은 아이브와 에스파·라이즈
등 주요 소속 아티스트의 활발한 콘서트 활동에 힘입어 6% 늘어난 5천억
원의 매출을 나타냈습니다.
한편, 카카오의 핵심 서비스인 카카오톡의 국내 월간 활성 이용자는
전년동기대비 73만 명 증가한 4천 8백 9십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