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과의존으로 디지털 치매 우려 심각 수준…디지털 디톡스 관심 ↑
▶트렌드모니터, ‘2024 디지털 치매 및 디지털 디톡스 관련 인식 조사’ 결과 발표
▶응답자 절반가량 디지털 치매 증상 경험…디지털 디톡스 관심 커져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일상에서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치매’를 겪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전국의 만
13~69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2024 디지털
치매 및 디지털 디톡스 관련 인식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절반가량이 실제로 디지털 치매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종종 경험하는 편
14.4%, 이따금씩 겪는 편 36.4%)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인 증상으로는 ‘주로 연락처가 기억나지 않다(22.4%)’, ‘전반적인 기억력이 저하(22.2%)’ 된다는 점을
꼽았습니다.
아울러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68.5%)가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디지털
치매 이슈가 심각한 수준인 것 같다는 우려를 내비쳤습니다.
특히 디지털 치매 문제가 가장 염려되는 연령대로는 초등학생(52.3%), 중학생(50.5%) 순으로 꼽았습니다.
이처럼 디지털 의존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향후 디지털 디톡스 실천 의향을 밝힌 응답자는 79.5%로
자기 전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거나(41.3%), 사용 시간을 줄이고 운동하기(36.8%), 종이책 읽기(31.9%) 등 아날로그 방식으로 디톡스를
실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디지털 디톡스를 실천하는 것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자는 76.5%, 자신에게 더 집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는 비율은
73.5%로 집계돼 디지털 디톡스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다만, 디지털 디톡스로 디지털 기기 의존도를 낮출 수는 있지만 완전히
줄이기는 어렵다는 의견은 83.8%, 필요성은 체감하지만 실제로 실천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은 76.5%로 나타나 현실적으로 디지털 기기의 익숨함을 포기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가 정부 차원에서 디지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상담,
치료 사업을 적극적으로 실시(60.4%)해야 하고, 디지털
디톡스 활동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60.2%)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한편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은 ‘유튜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과 개발사의 점유율을 조사한 결과, 유튜브가 한국인 젠체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33.6%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뒤이어
카카오톡 10.7%, 인스타그램 6.9%, 네이버 6.6%, 틱톡 2.0%, 네이버 웹툰 1.6%, X 1.6%, 티맵 1.4%, 넷플릭스 1.3%, 브롤스타즈 1.2% 순이었습니다.
앱
개발사별 사용시간 점유율은 구글이 33.6%로 가장 높았으며, 카카오 13.7%, 네이버 11.4%, 메타 7.7%, 틱톡 2.3%, SKT 2.0%, 쿠팡 1.6%, X 1.6%, 수퍼셀 1.5%, 넷플릭스 1.3%로 집계됐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