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과의존으로 디지털 치매 우려 심각 수준…디지털 디톡스 관심 ↑
▶트렌드모니터, ‘2024 디지털 치매 및 디지털 디톡스 관련 인식 조사’ 결과 발표
▶응답자 절반가량 디지털 치매 증상 경험…디지털 디톡스 관심 커져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일상에서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치매’를 겪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전국의 만
13~69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2024 디지털
치매 및 디지털 디톡스 관련 인식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절반가량이 실제로 디지털 치매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종종 경험하는 편
14.4%, 이따금씩 겪는 편 36.4%)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인 증상으로는 ‘주로 연락처가 기억나지 않다(22.4%)’, ‘전반적인 기억력이 저하(22.2%)’ 된다는 점을
꼽았습니다.
아울러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68.5%)가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디지털
치매 이슈가 심각한 수준인 것 같다는 우려를 내비쳤습니다.
특히 디지털 치매 문제가 가장 염려되는 연령대로는 초등학생(52.3%), 중학생(50.5%) 순으로 꼽았습니다.
이처럼 디지털 의존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디지털 디톡스(거리두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향후 디지털 디톡스 실천 의향을 밝힌 응답자는 79.5%로
자기 전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거나(41.3%), 사용 시간을 줄이고 운동하기(36.8%), 종이책 읽기(31.9%) 등 아날로그 방식으로 디톡스를
실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디지털 디톡스를 실천하는 것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자는 76.5%, 자신에게 더 집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는 비율은
73.5%로 집계돼 디지털 디톡스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다만, 디지털 디톡스로 디지털 기기 의존도를 낮출 수는 있지만 완전히
줄이기는 어렵다는 의견은 83.8%, 필요성은 체감하지만 실제로 실천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은 76.5%로 나타나 현실적으로 디지털 기기의 익숨함을 포기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가 정부 차원에서 디지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상담,
치료 사업을 적극적으로 실시(60.4%)해야 하고, 디지털
디톡스 활동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60.2%)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한편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은 ‘유튜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과 개발사의 점유율을 조사한 결과, 유튜브가 한국인 젠체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33.6%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뒤이어
카카오톡 10.7%, 인스타그램 6.9%, 네이버 6.6%, 틱톡 2.0%, 네이버 웹툰 1.6%, X 1.6%, 티맵 1.4%, 넷플릭스 1.3%, 브롤스타즈 1.2% 순이었습니다.
앱
개발사별 사용시간 점유율은 구글이 33.6%로 가장 높았으며, 카카오 13.7%, 네이버 11.4%, 메타 7.7%, 틱톡 2.3%, SKT 2.0%, 쿠팡 1.6%, X 1.6%, 수퍼셀 1.5%, 넷플릭스 1.3%로 집계됐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