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상반기, '파묘', '범죄도시4' 업고 훨훨 난 韓영화...팬데믹 이전 91.2% 회복

▶영진위, 2024년 상반기 극장 매출 팬데믹 이전의 72.7% 회복
▶2024년 상반기, 한국 영화는 승승장구...외국 영화는 지지부진

입력 : 2024.07.23 17:15
상반기, '파묘', '범죄도시4' 업고 훨훨 난 韓영화...팬데믹 이전 91.2% 회복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2024년 상반기 극장가의 전체 매출액은 6103억원, 전체 관객 수 6293만명을 기록하며, 2023년 상반기 보다 전체 누적 매출액과 관객 수가 소폭 증가했습니다.

 

이는 파묘’, ‘범죄도시 4’ 등 두 편의 천만 영화와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2’의 흥행 영향이 컸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매출액은 팬데믹 이전인 2017~2019년 같은 기간 평균(8390억원) 72.7%, 전년 동기 대비 0.4%(24억원) 증가하며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아울러 관객 수는 팬데믹 이전 평균(199만명) 62.3%, 전년 동기 대비로는 7.8%(454만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4년 상반기 평균 영화 관람 요금은 9698원으로 3년 만에 다시 1만원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평균 관람 요금은 티켓 가격이 높은 특수상영 매출의 영향을 받는데, 올해 상반기에는 그간 특수상영 흥행작이 많던 외국 영화의 성적이 부진해 상반기 평균 관람 요금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2024년 상반기 한국 영화는 파묘범죄도시4’ 두 편의 1000만 영화를 배출하면서 팬데믹 이전 평균 수준의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상반기에 천만 영화가 두 편이나 탄생하는 것은 팬데믹 이후 처음이며, 상반기에만 천만 관객을 돌파한 한국 영화가 두 편이 나온 것은 한국 영화 산업 역사상 최초입니다.

 

2024년 상반기 한국 영화 누적 매출액은 3589억원을 기록하며, 2017~2019년 같은 기간 평균(3929억원) 91.2%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에 비해서 68.8%(1460억원) 늘어난 매출입니다.

 

관객 수는 더욱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2024년 상반기 한국 영화 누적 관객 수는 3731만명으로 2017~2019년 같은 기간 평균(4782만명) 78% 수준이었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77.3%(1626만명) 증가했습니다.

 

다만, 외국 영화의 흥행 성적은 다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 영화의 2024년 상반기 누적 매출액은 2520억원으로 2017~2019년 같은 기간 평균(4461억원) 56.5% 수준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36.3%(1436억원) 감소했습니다.

 

누적 관객 수 또한 팬데믹 이전 평균(5317만명) 대비 48.2% 수준인 2562만명을 기록했고, 전년 동기 대비 31.4%(1172만명) 감소했습니다.

 

상반기 기준으로 웡카인사이드 아웃2’를 제외하면 매출액 300억원, 관객 수 300만명을 넘긴 외국 영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 해 할리우드 파업 여파로 마블 영화를 비롯한 블록버스터 기대작의 개봉이 연기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지난해 상반기 메가 히트에 성공했던 스즈메의 문단속’, ‘더 퍼스트 슬램덩크와 같은 일본의 애니메이션의 흥행도 없었습니다.

 

IMAX ScreenX 등 특수상영의 매출은 2023년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며 외국 영화 부진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2024년 상반기 특수상영 전체 매출액은 3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8%(409억원) 감소했고, 특수 상영 전체 관객 수는 258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3%(251만명) 줄어들었습니다.

 

한편, 2024년 상반기 한국 영화가 호성적을 거뒀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는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

 

영진위는 “’파묘범죄도시4’를 제외하면 상반기 한국 영화 개봉작 중 매출액 200억원, 관객 수 200만명을 넘긴 한국 영화가 없었다라며 흥행 양극화의 심화는 여전했고, 개봉 초반 흥행 성적이 좋지 않으면 주말 스크린 확보가 어려워 수요일 개봉 관행을 깨고 금요일에 개봉하는 영화가 늘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2024년 상반기에는 사상 처음으로 경기도가 서울을 제치고 더 많은 관객을 모집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진위는 “2023년까지는 서울의 매출액과 관객 수가 가장 많았으나, 2024년 상반기의 경우 매출액은 서울이 전체 매출액의 26.8% 1633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관객 수는 전체 관객 수의 25.9% 1629만명으로 경기도가 가장 많았다라며 서울과 경기도의 매출액 및 관객 수 점유율 차이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왔는데, 결국 올해 상반기에 처음으로 경기도 관객 수가 서울을 앞섰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