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장 영화적인 영화제"...전주국제영화제, 10일 간의 대장정 마치고 10일 폐막

▶전주국제영화제, 지난 10일 폐막식 개최
▶43개국 232편의 작품 상영...오프라인 관객 6만명 방문

입력 : 2024.05.17 12:40 수정 : 2024.05.17 12:44
"가장 영화적인 영화제"...전주국제영화제, 10일 간의 대장정 마치고 10일 폐막 (출처=전주국제영화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5월 1일부터 전주시 곳곳에서 영화적인 순간을 가득 채운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가 5월 10일 폐막식을 끝으로 영화 대축제의 여정을 마무리했습니다.

 

지난 5월 1일 '우리는 늘 선을 넘지'라는 슬로건과 함께 개막한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는 6개 극장 22개 관에서 43개국 232편(해외 130편/장편 110편, 단편 20편, 국내 102편/ 장편 52편 단편 50편)을 상영했습니다.

 

아울러 차이밍량-행자연작 특별전, 전주씨네투어, 픽사 in 전주, 다시 보다 25+50, 다양한 클래스 프로그램들에 버스킹 공연, 100Films 100 Posters 등 다양한 전시ㆍ공연과 부대행사로 영화제를 찾은 관객과 관광객에게 다채로운 즐거움까지 선사했습니다.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는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에서 배우 소이현과 인교진의 사회 속에서 폐막식을 진행하며, 열흘 간 축제의 여정을 마무리했습니다.

 

폐막 선언을 위해 단상에 선 우범기 조직위원장은 "영화인 여러분, 관객 여러분, 전주 시민 여러분과 함께 글로벌 영화 도시 전주에서 봄의 영화 축제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입니다"라고 밝히며 전주국제영화제를 찾은 이들에게 감사를 표함과 동시에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를 기대하게 했습니다.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에는 폐막식 마감 기준(10일 기준) 오프라인 극장에 66,911명의 관객이 찾아왔습니다. 작년과 달리 온라인 상영과 VR 상영을 하지 않고 오프라인 일반 상영 기준 전년 대비 52회 증가한 590회 진행, 381회자 매진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일반 상영 회차 기준 최다 상영 회차이자 최다 매진 회차였으며, 좌석 수도 전년 대비 5천여 석 가량 늘어나 총 84,368석에서 좌석 판매율은 79.3%를 달성했습니다.

 

아울러 이번 영화제는 영화인들이 교류하는 소통의 장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했습니다. 올해는 2475명의 게스트가 전주를 방문했고, 해외 손님은 130명이었던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멜버른, 로카르노, 산세바스티안, 뉴욕, 토론토, 싱가포르, 파이브 플레이버스, 마르델플라타 등 유수의 행외 영화제 프로그래머 및 집행위원장이 전주를 방문했으며, 세계적인 거장이자 전주국제영화제와 남다른 인연을 맺고 있는 차이밍량 감독이 23년 만에 전주국제영화제를 방문했습니다. 

 

이밖에도 전주국제영화제는 개막식 이후부터 전주 영화의거리 일대, 오거리 문화광장, 팔복예술공장 등에서 다양한 행사를 진행했고, 지난 10일 폐막식을 끝으로 전주시 전역에서 가장 영화적인 열흘 간의 축제를 개최해 대중성과 독립성 모두를 잡는다는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

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

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

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

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

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

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