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시상식 진행....총 16편 수상작 선정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시상식서 총 16편 수상작 선정
▶‘메이저 톤으로’ 국제경쟁 대상 수상…한국경쟁 부문에는 ’힘을 낼 시간’ 선정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는 지난 7일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에서 시상식을 열고 국제경쟁, 한국경쟁, 한국단편경쟁 부문 등에서 총 16편의 수상작을 선정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
국제경쟁 대상은 잉그리드 포크로펙 감독의 ‘메이저 톤으로’가 수상했으며, 팜응옥란 감독의 ‘쿨리는
울지 않는다’가 작품상을, 장 밥티스트 뒤랑 감독의 ‘쓰레기장의 개’가 심사위원특별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경쟁 부문에서는 남궁선 감독의 ‘힘을 낼 시간’이 한국경쟁 대상(후지필름 코리아 후원)을 수상한 것에 더해 배우상과 왓챠상까지 수상하며 3관왕의 기쁨을
누렸습니다.
배우상은 ‘힘을 낼 시간’의
최성은 배우와 장만민 감독이 연출한 ‘은빛 살구’의 나애진
배우가 수상했습니다.
또 한국경쟁 부문 신설 상인 배급지원상은 박정미 감독의 ‘담요를 입은
사람’이 수상했습니다.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부터 신설된 배급지원상은 심사위원단의 선정을 받은 1편에 상금 500만원과 트로피를 수여합니다.
작년보다 191편 증가해 총
1332편의 출품작 중 25편이 본선 심사를 거친 한국단편경쟁에서는 공선정 감독의 ‘작별’이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이어
한국단편경쟁 감독상은 임지선 감독의 ‘헨젤:두 개의 교복치마’가 수상했으며, 심사위원특별상은 박세영 감독의 ‘땅거미’에게 돌아갔습니다.
총 4개 상을 시상한 특별 부문의 경우, 멕시코국립시네테카 개봉지원상은 김솔해, 이도진 감독의 ‘통잠’이 수상했습니다. 아시아영화진흥기구
심사위원단이 비경쟁부문 아시아 영화 상역작 중 1편을 선정해 시상하는 넷팩상은 아델 타브리즈 감독의
‘펀치 드렁크’가 수상했습니다.
지역공모 출품작 중 1편을 선정하는
J비전상은 ‘너에게 닿기를’의 오재욱 감독이
수상했으며, 한국 장편 다큐멘터리 상영작 중 1편을 선정하는
다큐멘터리상(진모터스 후원)은 지혜원 감독의 ‘목소리들’이 수상했습니다.
한편 지난 1일 개막해 43개국 232편 중 15개 부문의 시상을 마무리한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는 전주 영화의거리 일대에서 관객들과 만나며, 오는 10일 축제를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