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앤톡] 존폐위기에 놓인 지역 영화제…영화인들의 생각은?
![[폴앤톡] 존폐위기에 놓인 지역 영화제…영화인들의 생각은?](/upload/6e282434e6b04746b686de352e6eac50.jpg)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 10일 국내 대표 3대 국제영화제인 전주국제영화제가 성황리에 마무리됐습니다. 지난해 약 8억원 규모의 예산이 지원됐던 것과 달리 올해는 약 6억원으로 크게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43개국 232편(장편 162편, 단편 70편)의 작품들이 총 6개 극장 22개관에서 590회 걸쳐 상영됐습니다.
특히 이번 전주국제영화제는 일반 상영 기준 최대 상영 회차, 최다 매진을 기록했으며, 전년 보다 관객수(2023년 66,028명/2024년 66,911명)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영화인들의 걱정은 깊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영화제 지원사업 예산을 절반 가까이 삭감하면서 대다수의 영화제들이 존폐위기에 처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영화진흥위원회의 ‘2024년 국내 및 국제 영화제 지원 사업 심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영진위로부터 지원을 받는 영화제는 10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해 40여개 국내∙국제 영화제가 지원을 받았던 것과 비교했을 때 크게 밑도는 수준입니다.
아울러 영화제 지원예산 규모도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지난해 국내∙국제 영화제 지원 예산은 50억원에 달했지만, 올해는 절반인 24억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이번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영화제 대부분이 중∙대규모 영화제에 집중돼 있어 지역에서 운영되는 소규모 영화제들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는 8월 개최 예정인 목포국도1호선독립영화제의
운영을 맡고 있는 정성우 감독은 “목포에서 8월달 독립영화제를
진행해야 하는데 확정된 예산이 없다보니 영화제를 구성하는 프로그램과 이벤트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라고 밝혔습니다.
정 감독은 이어 “목포국도1호선독립영화제는
초기에 예산을 지원받지 않고 상영회라는 형태로 시작된 영화제였지만, 영진위와 지자체 등의 지원을 통해
지속적인 확장을 해왔고 작년만해도 장∙단편을
포함해 60여 편이 넘는 작품을 상영하는 지역을 대표하는 영화제로서 자리잡을 수 있었다”면서 “하지만 예산 지원이 불투명해지면서 올해는 작년보다 영화제 규모를
축소할 수밖에 없고, 운영 차원에서도 적지 않은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라고 했습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될 경우, 지역 소규모 영화제의 역할 수행에도
차질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습니다.
백재호 한국독립영화협회 이사장은 “모든 영화제들은 각자만의 개성을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고, 영화인들에게는 자신만의 작품을 상영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라며 “특히 소규모 영화의 역할은 대규모 영화제가 담지 못하는 특색 있는 영화들을 상영하는 것인데 올해 중∙대형 영화제 위주로 예산 지원을 받게 되면서 소규모 영화제의 역할을 온전히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위즈경제가 정부의 예산삭감으로 인해 존폐위기에 놓인 지역 영화제들이 당면한 현실과 그로인해 발생되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위해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자 합니다.
※지역 영화제 예산 삭감에 따른 실태조사 개요
-내용: 지역 영화제 예산
삭감 실태조사
-목적: 존폐위기에 놓인 지역 영화제 관련 실태조사를 통한 현장 의견 청취, 실질적 대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
- 참여 대상: 전국 영화계
종사자
Poll&Talk 진행 중인 Poll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