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국제영화제②] 우리는 이렇게 선을 넘는다, 전형적인 영화의 틀을 깨는 전주국제영화제 흝어보기
▶기존 영화의 한계를 뛰어넘는 전주국제영화제 출품작 홅어보기
▶<블랙베리> 리뷰
									(출처=전주국제영화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2000년부터 시작돼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국내 대표 영화제인 ‘전주국제영화제’가 올해도 어김없이 돌아왔습니다.
‘우리는 늘 선을 넘지’라는 슬로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이번 영화제에서는 기존 영화의 한계를 뛰어넘는 색다르고 특별한 작품이 다수 포진돼 관객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이에 위즈경제는 제 25회 전주국제영화제에 출품된 대표적인 작품을 선정해 그들이 어떤 방식으로 전통적인 영화의 상식을 뛰어넘어 색다름을 표현하고 있는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편집자주>
◇차근차근 짚어가는 흥망성쇠의 기록(영화:블랙베리(Blackberry)/ 감독:맷 존슨/ 장르: 코메디, 드라마)

두 사람이 있다. 한 사람은 천재적인 비지니스 실력을 갖고 있지만, 승진에 대한 과한 욕심을 부리다가 다니던 회사에서 짤리고 말았다. 다른 사람은 공학의 천재지만, 소심한 성격에 자신의 회사에서 제작할 제품에 대한 설명도 제대로 하지 못해 중요한 프로젝트를 망치고 말았다. 이처럼 전혀 관련 없을 것 같던 두 사람이 한 자리에 모여 역사에 남을 스마트폰을 만들어낸다. 쿼티(QWERT)라 불리는 톡톡 튀는 자판의 터치감과 함께 이메일ㆍ메세지 기능까지 탑재된 '블랙베리'의 이야기는 그렇게 시작됐다.
어느 시대나 1인자는 존재한다. 하지만 1인자의 자리가 영원하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아이폰이 등장하기 전 블랙베리는 휴대폰 시장에서 최대 약 45%의 점유율을 기록할 정도의 인기 제품으로 전세계인들의 사랑을 받았다. 맷 존슨 감독은 영화 '블랙베리'를 통해 과거 대적할 자가 없었던 휴대폰 업계 1인자 블랙베리의 흥망성쇠 과정을 차근차근 밟아 나간다. 이 과정 속에서 얽히고 설키는 인물들의 관계를 흥미롭게 묘사하며, 2시간이라는 제법 긴 러닝타임이 짧게 느껴질 정도의 높은 흡입력을 선사한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