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지역구 161석 확보해 원내 1당 차지…국민의힘 90석
▶더불어민주당, 161석 확보로 원내 1당 지위 확보
▶국민의힘 90석 확보에 그쳐…새로운미래, 개혁신당, 진보당 각각 1석씩 확보
22대 총선 지역구 결과(출처=네이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21대 국회에 이어 22대 국회에도 압도적인 의석을 확보하며, 원내 1당을 차지했습니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중앙선관위) 개표 상황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161석, 국민의힘 90석, 새로운미래, 개혁신당, 진보당은 각각 1석씩
확보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봤을 때 수도권에서 민주당은 서울 37석, 경기 53석, 인천 12석으로 총 102석을 확보해 수도권 의석(122석) 대부분을 싹쓸이했습니다.
여기에 야권의 텃밭인 호남(광주 8석, 전북 10석, 전남 10석)과 제주 3석을
모두 차지했으며, 중원인 충청권에서는 충북 5석, 충남 8석, 대전 7석, 세종 1석을 확보해
전체 28석 중 21석을 차지했습니다.
민주당은 보수 강세 지역으로 분류되는 영남, 강원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강세를 이어가며, 21대 국회에 이어 22대 국회에서도 원내 1당의 지위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전국 90석을 확보한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의힘은 수도권에서 서울 11석,
경기 6석, 인천 2석으로 총 19석을 확보했으며, 중원인
충청권에서는 충북, 충남에서 각각 3석을 확보한 데 그쳤습니다.
다만, 22대 총선 격전지로 예상된 부산에서 국민의힘은 18석 중 17석을 차지했으며, 강원에서도
8석 중 2석만 내주는 것으로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2대 총선에서 제3지대를
노렸던 개혁신당, 새로운미래, 진보당은 각각 1석 확보에 그쳤습니다. 지난 21대
총선에서 6석을 확보했던 진보정당인 녹색정의당은 이번 총선을 0석으로
마무리하며, 원외 정당으로 밀려나게 됐습니다.
반면 경기 화성시을 선거구에 출마한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공영운 민주당 후보와 경쟁에서 3278표차로 승리했고, 김종민 새로운미래 후보는 류제화 국민의힘
후보를 꺾고 세종특별자치시갑지역구 당선인이 됐습니다. 진보당에서는 울산 북구 선거구에 출마한 윤종오
후보가 박대동 국민의힘 후보를 누르고 승리했습니다.
비례대표는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가 18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으며, 민주당 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
14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2석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총선 기간 중 논란을 낳았던 후보들의 희비도 엇갈리고 있습니다.
‘이대생 성성납’ 발언으로
후보사퇴 요구를 받았던 김준혁 민주당 후보는 수원시정 지역구에 최종 득표율 50.86%로 당선이 확정됐으며, 불법대출 논란에 휩싸인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후보도 경기 안산시갑 지역구 당선인이 됐습니다.
반면 ‘대파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던 수원시정 지역구 후보인 이수정 국민의힘 후보는 경쟁자인 김준혁 후보와 접전 끝에 최종 득표율 49.1%에
그치면서 낙선했습니다.
특히 이번 총선에서 제3지대 바람을 예고했던 녹색정의당과 개혁신당, 새로운미래 등이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이낙연 새로운미래 대표, 심상정 녹생정의당 후보 등이 민주당 후보에 밀려 낙선의 고배를 마셨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