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라] 신제품 출시일은 늦고 가격은 높고... 애플의 한국 차별 논란
(출처=애플 홈페이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 12일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15 시리즈가 공개됐지만, 늦은 출시일과 가격 동결 등의 논란이 확산되면서 국내 아이폰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애플이 공개한 신제품 아이폰15 시리즈는 업계 최초 3나노 칩인 A17이 탑재됐고 우주선에 사용되는 티타늄 소재를 채택해
높은 내구성까지 겸비했습니다. 아울러 아이폰15 시리즈는
모두 기존의 라이트닝 포트 대신 세계적인 표준이 된 ‘USB-C’ 충전단자를 적용했습니다.
아이폰15 시리즈는 지난 22일
미국∙중국 등 1차 출시국에 정식 출시되자마자 엄청난 인기를 끌었습니다. 특히 아이폰 최대 판매국 중 하나인 중국에선 아이폰 금지령∙화웨이 열풍 등의 악재가 겹쳤음에도 1분 만에 초도 물량이 매진될 정도로 높은 호응을 받았습니다.
중국과 달리 한국은 3차 출시국으로 분류돼 다음 달 13일부터 정식 출시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아이폰15 시리즈의 정식 출시가 한 달 가까이 미뤄진 것에 대해 국내에서는 애플의 정책이 차별적이라며 반발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 20일 성명서를 통해 “한국은 1, 2차 출시국에 포함되지 못했다”라며 “이는 인접국가 중국, 일본에 비해 한참 뒤쳐진 것으로 말레이시아나 베트남보다도 늦다”고
비판했습니다. 앞서 한국은 전작인 아이폰14 시리즈 출시
때도 3차 출시국으로 지정된 바 있습니다.
여기에 아이폰15 시리즈 가격 동결 논란까지 제기되면서 애플의 ‘한국 홀대론’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아이폰15 시리즈의 가격은 지난해 같은 수준으로 동결해 일반형 125만원, 플러스 135만원, 프로 155만원, 프로맥스
190만원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 15일 기준 전날 원달러 마감 환율(달러당 1327.8원)을
적용, 아이폰15 기본모델의 미국 판매 가격(799달러)을 원화로 환산하면 106만1000원에 불과하다”라면서 “한국에서 미국보다 18만9000원(17.8%) 비싸게 판매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들은 이어 “미국 출시 가격에는 세금이 포함돼 있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도 아이폰15 의 미국 소비자 가격(세금 10% 적용)은 환화 116만7000원대로 볼 수 있다. 세후 가격으로 비교해도 한국이 7% 이상 비싸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한국의 아이폰15 시리즈의 가격은 이웃나라인 일본과 중국과 비교해도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출고가 125만원인 아이폰15(128GB) 일반 모델의 경우, 일본에서는 12만4800엔(112만5000원), 중국은 5999위안(109만원)으로 한국보다 10만원 이상 저렴합니다.
아이폰15 시리즈의 출시를 앞두고 애플이 한국에 차별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찬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이폰을 구매할 의사가 있다
반대: 분명한 차별이다. 아이폰을 구매할 의사가 없다
중립: 기타의견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