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13

산업재해 관련 개선 방안에 대해 설명하는 전주희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및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 (사진= 위즈경제)

[인터뷰] “산재 정보 미공개는 취업사기”… 전문가, 정보 공개와 감시자 역할 강조

▷전주희 연구원 “정부·언론의 산재 기업 공개 필요” ▷“산업재해는 사회적 문제, 감시자 역할로 나서야”

인터뷰 > 인터뷰    |   전희수 기자    |   2025.10.01

(일러스트=DALLㆍE)

[STOCK CPR] 날지도 못하고 꺾여버린 가족의 꿈…무슨 일이 있었나?

▷가족의 미래를 위해 시작한 투자…거래정지·상장폐지로 오히려 미래 위태로워져 ▷”대유의 거래재개와 부조리한 경영진 처벌 강화 기대”

기획·연재 > 기획특집    |   이정원 기자    |   2025.04.04

2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대검찰청과 은행연합회가 공동 개최한 '민생침해범죄 대응 강화 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찍고 있다. 사진=위즈경제

이원석 "형사처벌만으로 민생침해범죄 막을 수 없어...예방 중요"

▷"신종 범죄 늘어나...민생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로 한발 나설 것"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4.07.22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올들어 아파트 비중 역대 최대...증여거래도 늘어

▷전세사기 불안감에 아파트 선호도 높아져 ▷"증여거래 증가...부의 대물림 우려"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4.05.21

[폴 플러스] 참여자 66%, "의사협회 수술실 CCTV 헌법소원, 지지하지 않아"

▷ 참여자 66%가 '지지하지 않는다', 33.01%는 '지지한다'

POLL > Poll Plus    |   김영진 기자    |   2023.09.22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외신] 쿠데타 봉합한 러시아... "푸틴의 취약함은 이제 확실하다"

▷ 36시간 만에 종료된 러시아 쿠데타... CNN, "푸틴 종말의 시작" ▷ 쿠데타에도 미지근한 러시아 우방국... 푸틴의 약점이 노출되었다는 평가 대두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선의 변동 필연적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3.06.26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외신] 지구온난화의 '시한폭탄'이 된 아한대 삼림

▷ 매년 발생하는 산불... 많은 양의 탄소 배출 ▷ 아한대 삼림 산불 ↑... 연구진, "시한폭탄"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3.03.03

출처=클립아트코리아

10~20대 마약범죄 급증…이유는 ‘이것’ 때문

▷10~20대 마약사범, 2017년에 비해 각각 3.8배∙2.5배 늘어 ▷비대면 구매로 접근성 낮아져…식욕억제제 투약 증가도 한몫 ▷학생·청소년 대상 마약 예방활동 활성화 등 대책마련 나서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3.01.30

계속되는 이태원 참사 비극...국정조사는 제자리 걸음

▷이태원 참사 10대 생존자 사망... 극단적 선택 추정 ▷여당 국조 위원 사퇴에... 야당 단독강행 시사 ▷이태원 참사를 겪었다면 지속적인 관찰과 치료 필요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2.12.14

(출처=클립아트코리아)

[기획]①스토킹처벌법 1년…여전히 떨고 있는 피해자들

▷스토킹 범죄 끊이질 않아…하루평균 약 85건 ▷피해자, 정신적 고통 시달려…”일상생활 어려워” ▷ 결국 강력범죄로 이어져…148건 가운데 95건

기획·연재 > 기획특집    |   류으뜸 기자    |   2022.10.25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