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10~20대 마약범죄 급증…이유는 ‘이것’ 때문

▷10~20대 마약사범, 2017년에 비해 각각 3.8배∙2.5배 늘어
▷비대면 구매로 접근성 낮아져…식욕억제제 투약 증가도 한몫
▷학생·청소년 대상 마약 예방활동 활성화 등 대책마련 나서

입력 : 2023.01.30 00:00 수정 : 2023.01.30 10:43
10~20대 마약범죄 급증…이유는 ‘이것’ 때문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친구는 펜타닐이 불법도 아니고 심적고통과 후유증도 없다고 하며 권유했다. 그리고 그걸 흡입한 순간 친구는 내게 잘가라고 비웃었다. 잘가라는 말을 듣는 순간 이제 돌이킬 수 없겠구나는 생각이 들었다

 

래퍼 사츠키(본명 김은지)씨가 유투브 채널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에 출연해 한 말입니다. 그는 약 20개월 동안 펜타닐을 하면서 20~30분 지나면 춥고 오한증상이 오는 마약중독 현상을 겪었고 이후 죽고 싶다는 생각으로 괴로웠다고 밝히면서 눈물을 흘렸습니다.

 

최근 마약류 사범이 증가하는 가운데 10~20대 젊은 층에서 마약에 대한 거부감이나 죄의식 없이 전파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30일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1~1110대 마약사범은 454명으로 2017119명의 3.8배 수준으로 늘었습니다. 20대 마약사범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 5335명으로 2017(2112)에 비해 약 2.5배 정도 늘었습니다.

 

#젊은 마약사범 급증이유는?

 

국민의힘 최영희 의원실에 따르면 젊은층의 마약사범이 급증하는 이유로 코로나 19 이후 SNS 등비대면 구매 방법이 다양해지면서 접근성이 낮아진 것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습니다.

 

실제 지난해 9SNS를 통해 마약류 판매광고를 내고 가상자산(비트코인)으로 대금을 받는 방식으로 마약을 유통한 20A 씨가 경찰에 붙잡힌 바 있습니다. A 씨에게 마약을 산 82명 중 65(79%)20대였습니다.

 

이법호 법무무 범죄예방기획과장은 비공개 인터넷인 다크웹 등 인터넷 비대면 거래 증가로 10~20대 젊은 층에서 마약에 대한 거부감이나 죄의식 없이 전파가 가속화되는 심각한 상황이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마른 몸을 동경하는 10대들이 소위 나비약이라고 불리는 향정신성 식욕억제제를 불법으로 처방받아 유통하거나 투약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도 젊은 층의 마약소비가 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라고 덧붙였습니다.

 

#법무부가 내놓은 대책은?

 

이에 따라 정부는 젊은 층의 마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소년 마약예방과 재범방지 강화에 나섭니다.

 

법무부에 따르면 전국 중고등학교(학생)와 청소년복지시설(학교 밖 청소년)에 방문해서 학교폭력과 사이버범죄 예방교육을 실시하는 찾아가는 법교육 출장강연마약 예방교육을 추가하고, 교육부와 여가부 등 부처간 협업을 통해 예방활동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재범을 막기 위해 소년원 교육과정에 약물중독 예방을 추가하고, 소년보호관찰 대상자를 상대로 지도감독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이밖에도 청소년비행예방센터, 보호관찰소 등 소년 처우의 모든 단계에서 마약류 사용실태를 상시적으로 조사하고, 사용실태 현황의 추이를 면밀하게 모니터링 할 계획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