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쿠데타 봉합한 러시아... "푸틴의 취약함은 이제 확실하다"
▷ 36시간 만에 종료된 러시아 쿠데타... CNN, "푸틴 종말의 시작"
▷ 쿠데타에도 미지근한 러시아 우방국... 푸틴의 약점이 노출되었다는 평가 대두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선의 변동 필연적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턱밑까지 압박했던 용병업체 바그너그룹의 쿠데타가 실패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러시아에겐 안도감을, 러시아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우크라이나는 다소 아쉬움을 느낄 수 있는 결과였는데요.
이제 시선이 쏠리는 건, 쿠데타 ‘이후’입니다.
CNN을 비롯한 외신은 러시아가 쿠데타에 휩싸였던 지난 주말의 36시간이 푸틴 대통령에겐 “종말의 시작”(“the beginning of the end for Putin”)이라고 분석했는데요.
현지시각으로 지난 23일, 우크라이나 전쟁의 선두에 섰던 바그너 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Yevgeny Prigozhin)은 쿠데타를 선언합니다.
병력을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 200km 앞까지 진군시키고, 주요 도시와 군사시설을 점거하면서 러시아는 급박한 내홍(內訌)에 휩싸였는데요.
러시아 정부와 바그너 그룹 간의 갈등을 중재한 건 ‘알렉산드르 루카셴코(Alexander Lukashenko)’ 벨라루스 대통령이었습니다.
프리고진은 이 중재를 받아들였습니다. 러시아로
향하던 병력을 돌리고, 벨라루스로의 망명을 택하면서 푸틴 대통령은 한숨 놓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실패로 끝난 쿠데타는 러시아 정부에 깊은 후유증을 남긴 듯합니다.
CNN은 쿠데타가 일어난 지난 36시간에 대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통치가 막을 내린 시간”(These were
36 hours that provided a glimpse of the end of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s rule”)이었다며, “(쿠데타는) 일주일
전에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으며, 17개월 전에는 더욱이 상상할 수 없었다”(“Almost every action was improbable, at best a week ago – much was
inconceivable, 17 months ago”)고 이야기했습니다.
CNN이 주목한 건 프리고진과 러시아 정부의 갑작스러운 화해 무드입니다. 프리고진이 이끄는 바그너 그룹은 모스크바의 코앞까지 진격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이들에 대한 엄벌과 처단을 약속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프리고진이 떠나자 “갑자기 모든 것이 용서되었습니다”(“and then suddenly everything is forgiven”) 폭발적으로 화를 냈던 푸틴 대통령은 급격히 조용해졌으며, 프리고진을 놓아주면서 “23년 만에 가장 약한 모습”(“he’s appeared the weakest yet in 23 years”)을 보인 셈입니다.
이에 대해 CNN은 “이
이야기의 많은 부분이 누락되었다”며 러시아와 벨라루스, 바그너
그룹 사이에 모종의 일이 더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이제 초점은 쿠데타 ‘이후’에 맞춰집니다.
CNN은 “푸틴의 취약함은 확실하다”(“Putin’s vulnerability is assured”)며, 러시아 정부의 내분/무능/나약함 등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했습니다.
쿠데타를 목격한 건 전 세계입니다. 현재 적대 관계에 놓여있는 우크라이나, NATO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우방국들도 프리고진의 바그너 그룹이 모스크바 인근까지 찾아온 것을 목격했습니다.
러시아에게 갚아야 할 빚이 있는 카자흐스탄과 이란은 쿠데타를 “내부 문제”(“internal matter”)으로 평가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러시아의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 그 우방국들이 예상보다 미적지근하게 반응한 셈입니다.
CNN 曰 “푸틴은 끝이
시작되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It feels like the beginning of the end for
him”)
이번 러시아의 쿠데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곳은 우크라이나 전선입니다. 우크라이나와 대치하고 있던 바그너 그룹이 병력을 모스크바 쪽으로 돌렸기 때문에, 전선의 변동은 사실상 예정된 일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