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40

(사진=잡코리아)

잡코리아, 원픽 출시 2주년 맞아 주요 성과 데이터 공개

▷잡코리아, 원픽 서비스 최근 1년 간 월 지원자 수 폭발적인 성장세 보여 ▷올해 1분기 입사 지원 수는 전년 대비 71% 증가…누적 지원 수 250만 회 돌파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5.14

KB라이프(대표이사 사장 정문철)의 요양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는 프리미엄 요양시설 ‘강동 빌리지’의 입소 신청 접수를 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사진=KB라이프

KB라이프, ‘KB골든라이프케어 강동 빌리지’ 입소신청 접수 시작

▷정원 144명 장기요양시설...서울 동남권 중심지 위치 ▷"프리미엄 시니어케어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갈 것"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4.30

NH농협은행 전경(사진=NH농협)

“수박도 공동구매 시대”…NH농협, 프리미엄 농축산물 판로 확대 나선다

▷올원뱅크 앱 통해 고객 참여형 ‘공동구매’ 서비스 운영 ▷가격은 낮추고 신뢰는 높인 국산 제철 농축산물 인기

경제 > 금융    |   김영진 기자    |   2025.04.30

경남 거제시 한화오션 부유식 도크에서 선박이 건조 된 모습(사진=연합뉴스)

한화오션, 수익성 대폭 개선…적정주가 83,000원으로 상향

▷1분기 실적 호조, LNG선 비중 확대가 주효 ▷미래 수익성 개선 기대…2025년 영업이익 3배 증가 전망

경제 > 증권    |   김영진 기자    |   2025.04.29

(사진=잡코리아)

잡코리아 원픽, AI 기반 ‘연봉 예측 서비스’ 출시

▷잡코리아 원픽, 기업·구직자에 연봉 분석 데이터 제공하는 ‘연봉 예측 서비스’ 출시 ▷”연봉 예측 서비스의 정확한 데이터와 예측 기술로 기업의 채용률 높일 것”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4.28

내일은 영업왕과 삼육유기농이 건강식품 유통 확대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사진=내일은 영업왕)

내일은 영업왕-삼육유기농, 건강식품 유통 확대 위한 업무협약 체결

▷‘내일은 쇼핑왕’과 삼육유기능 제품 연계, 검증된 유기농 식품 직접 판매구조 마련 ▷"영업 파트너들의 활동 범위를 넓히고,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거리를 좁히는 기회가 될 것”

산업 > 중기/벤처    |   김영진 기자    |   2025.04.10

(사진=LG전자)

LG전자, 자동차 부문 ‘2025년 가장 혁신적인 기업’ 선정…SDV 선도 기업 위상 굳혀

▷LG전자, 美 매체에서 자동차 부문 ‘2025년 가장 혁신적인 기업’ 선정 ▷”SDV 기술 고도화로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 경쟁력 강화해 나갈 것”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3.19

(사진=잡코리아)

“구직자와 기업 간 연결 강화 中”…잡코리아, ‘원픽 프리미엄’ 론칭 후 급성장

▷잡코리아, ‘원픽 프리미엄’ 서비스 출시 후 올 초 매출액 전년 대비 50% 성장 ▷”AI 기술과 데이터 분석 역량 고도화로 기업과 구직자에게 최적의 매칭 서비스 제공”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3.17

(사진=휴온스그룹)

휴메딕스, HA 필러 제품 3종 태국 TFDA 품목허가 획득

▶휴메딕스, 태국 TFDA에 HA 필러 제품 3종 품목허가 획득 ▶”해외 시장 영향력 확대 집중할 계획”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2.03

더불어민주당 대한한국 주식시장 활성화 TF는 지난 21일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 한국주식시장 밸류업을 위한 M&A 제도 개선 입법토론회를 열였다. 사진=위즈경제

논란의 상법개정안·자본시장법, 전문가 생각은?

▷21일 '한국주식시장 밸류업을 위한 M&A 제도 개선 입법 토론회' 개최 ▷국회의원·전문가 등 참여...박상혁 의원, M&A 과정서 일반주주 피해 지적 ▷정준혁 교수, 의무공개매수 도입 등 신속한 일반주주보호 방안 강조

경제 > 증권    |   류으뜸 기자    |   2025.01.22

Best 댓글

1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

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

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

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

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