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대형 기술주에 몰리는 국내 투자자들... "보호 장치 필요해"
▷ 자본시장연구원, '개인투자자의 해외주식투자 특성 및 시사점' ▷ 접근성 개선 등으로 美 고위험 상품에 대한 투자 비중 확대 ▷ 김한수 연구원, "국적에 상관없이 동일한 규제 적용하는 것이 적합"
경제 > 증권 | 김영진 기자 | 2024.11.01

올해 2분기 해외직접투자액 156.6억 달러... 6.1% 감소
▷ 업종 별로는 해외 금융보험업 투자에 많은 비중 둬 ▷ 자원 수요 증가로 해외 광업 투자 증가세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9.14

12월 국제수지 74.1억 달러 흑자... 외국인 국내투자 증가세
▷ 수출 590억 달러, 수입 509억 달러... 상품수지 80.4억 달러 흑자 ▷ 여행수지는 여전히 적자, 금융계정은 56.8억 달러 순자산 증가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2.07

지난해 11월 경상수지 40.6억 달러 흑자... 서비스수지는 여전히 부진
▷ 수출이 수입 상회하면서 상품수지가 상승세 견인 ▷ 서비스수지 적자폭 커져... 여행수지 10월보다 두 배 늘어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1.09

인기 저조한 공모펀드 시장... 올해 안으로 뜯어고친다
▷ 공모펀드에서 가장 중요한 '수익률'... 국내에선 변동성 크고 비교적 낮아 ▷ 금융당국, "공모펀드의 기관, 상품, 인프라 혁신할 것"
경제 > 금융 | 김영진 기자 | 2024.01.03

해외직접투자 부진 장기화... 3분기 146.2억 달러 기록
▷ 전년동기대비 20.4% 감소, 제조업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줄어들어 ▷ 캐나다를 상대로 한 해외직접투자는 크게 증가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12.15

31년 만에 외국인 등록제 폐지...편의성 더 높이려면?
▷긴 등록절차 등 외국인 투자 걸림돌로 작용 ▷장외거래 사후 신고 범위 확대...사후신고 원칙 ▷김주현 "낡은 시장 규제 과감히 깰 것"
경제 > 증권 | 류으뜸 기자 | 2023.12.13

10월 경상수지 68억 달러 흑자... 부채성증권 투자는 부진
▷ 수출 상품수지 개선, 서비스수지는 여전한 적자 ▷ 부채성증권 투자 9월보다 부진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12.08

'당겨쓴 여력, 압박받는 성장'... KIEP, 내년도 세계경제성장률 2.8% 전망
▷ 세계경제의 하방요인 크게 평가... 중국과 인도 제외하면 대부분 1% 성장률 ▷ 중국 경제의 향방, 전쟁, 고부채 및 고금리의 압박 등을 리스크 요인으로 거론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11.14

올해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역대 최고... EU와 중화권에서 투자 늘어
▷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금액 신고 기준 239.5억 달러 ▷ 미국, 일본에선 직접투자 줄고, EU와 중화권에선 증가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10.05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