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해외직접투자액 156.6억 달러... 6.1% 감소
▷ 업종 별로는 해외 금융보험업 투자에 많은 비중 둬
▷ 자원 수요 증가로 해외 광업 투자 증가세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올해 2분기(4~6월) 사이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액은 156.6억 달러로, 전년 동기(161억 달러) 대비 2.7% 감소했다. 총투자액에서 지분매각, 청산 등 회수금액을 제외한 순투자액은 123.3억 달러로 같은 기간 대비 6.1% 줄어들었다.
업종별로 보면, 기존 추세와 마찬가지로 금융보험업에 가장 많은 금액을 투자했다. 금융보험업에 53.3억 달러, 제조업 36.1억 달러, 광업 16억
달러, 정보통신업 13.2억 달러 순이다. 금융보험업과 제조업의 경우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4%, 10.5%
줄어든 반면, 광업과 정보통신업에 대한 투자는 각각 42.9%,
41.9% 늘었다.
지역 별로는 북미에 70억 달러를 투자했는데, 특히 미국에 59.6억 달러의 투자액이 집중되었다. 아시아에 대한 투자액이 33억 달러, 유럽 21억 달러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전년 동기 대비 투자액 규모 자체는 줄어들었다. 다만, 중남미, 대양주, 아프리카, 중동 지역에 대한 우리나라의 투자액은 증가했다.
기획재정부는 “2024년 2분기
해외직접투자는 글로벌 경기회복에 대한 불확실성 및 고금리 장기화, 글로벌 분쟁사태 등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투자심리가 위축되어 더딘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로보틱스와 모빌리티, 이차전지 등
혁신산업 투자로 인해 북미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고, 광업은 광범위한 자원 수요의 증가에 힘입어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늘었다고 덧붙였다.
기획재정부 曰 “향후 정부는 국제사회의 지정학적, 지경학적 위험요인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로 진출하는 우리 기업이 안정적으로 경영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주요 투자 대상국가와 다각도로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