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14

지역사회 통합돌봄에 대해 설명하는 이향열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시스템학과 부교수 (사진=위즈경제)

[인터뷰] 이향열 교수 “병원 중심서 지역 중심으로…의료가 지역으로 가야 돌봄이 산다”

▷병원에서 지역으로, 돌봄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때 ▷산업간호사·보건교사 등 잠재 인력, 지역 의료에 적극 활용 요구 ▷가정 내 돌봄 넘어, 지역 전체가 의료 돌봄 네트워크로 변화해야

인터뷰 > 인터뷰    |   이수아 기자    |   2025.10.17

11일 서울 코엑스 A홀 서울국제유아교육전에 참가한 '엠베스코' 부스에서 아이와 학부모가 블록을 가지고 논다. (사진=위즈경제)

[르포] 유교전, 아이 눈높이에 맞춘 체험형 학습 부스

▷교구 브랜드, 아이 맞춤형 체험부스로 학부모 시선 잡아 ▷13일까지, 교육·의류·식품…직접 만나볼 수 있는 기회

기획·연재 > 기획특집    |   전희수 기자    |   2025.07.12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서울시민, 아침 식사는 거르고 탄수화물 대신 지방 섭취... "건강식생활 유도해야"

▷ 서울연구원 '서울시민 식생활 실태 분석과 실생활 정책방향' 보고서 ▷ 과일과 채소, 곡물은 줄고 육류 섭취량은 늘어 ▷ 서울연구원, "생활터 기반으로 식생활 환경 조성프로그램 운영해야"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8.22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당뇨, 고혈압에 좋은 잡곡밥... '이렇게' 해서 먹으면 효과 더 좋다

▷ 농촌진흥청, 잡곡밥 기능성 유지·증진하는 가공방법 확립 ▷ 압출팽화·증숙하면 효능 증가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8.16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통풍의 핵심 발병원인 '고요산혈증', 유전적 요인과 관련 깊다

▷ 2022년 기준 국내 통풍 치료 환자 50만 명 넘어 ▷ 고요산혈증 유전적 위험도 크면 통풍 7배 ↑, 고혈압은 1.5배 ↑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6.24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외신] 국민병이라 불리는 당뇨병…발병 원인은 ‘식습관’?

▶日 교토부립의과대, 당뇨병 발병과 관련해 10년간 약 13만명 추적 조사한 연구 성과 발표

종합 > 종합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5.31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3월 소비자물가 3.1% ↑... 과일 물가는 '압도적'

▷ 3월 국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전년동월대비 3.1% 증가, 전월대비 0.1% 상승 ▷ 신선과실 물가, 전년동월대비 40.9% 상승... 사과 88.2%, 배 87.8% 등 ▷ 정부,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 발표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4.02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현실화된 기후위기, 코앞까지 다가온 식량안보 위협

▷ 미국, 캐나다 등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곡물 품질 ↓ ▷ 주요기관은 '낙관적 전망'이지만, 기후변화 불안정성 높아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7.24

(출처=클립아트코리아)

같이 먹었을 뿐인데... 내장 지방이 77.4% 감소하는 이것은?

▷ 코로나19로 인한 비만인구 증가... 남자가 특히 심해 ▷ '갯대추나무' 비만 억제 효과 확인... 지방세포 형성 억제 ▷ '잎'이 효능 뛰어나지만... 아직까진 식품 원료로서 등록 안돼 있어

종합 > 종합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3.03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성인 10명 중 3명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약은 없을까

▷ 술 마시지 않아도 발병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 섬유화 + 지방간염 동반하면 심혈관 질환까지 이어져

종합 > 종합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2.16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