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국민병이라 불리는 당뇨병…발병 원인은 ‘식습관’?
▶日 교토부립의과대, 당뇨병 발병과 관련해 10년간 약 13만명 추적 조사한 연구 성과 발표
![[외신] 국민병이라 불리는 당뇨병…발병 원인은 ‘식습관’?](/upload/28cab37b17314a90984946d72c47b553.jpg)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국민병이라고 불리는 ‘당뇨병’이 식습관에 따라 발병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일본에서 나왔습니다.
31일 일본 일간지 ‘닛간
겐다이(인터넷판)’는 교토부립의과대 연구그룹이 약 13만명을 10년간 추적 조사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2008~2018년까지 10년간 건강검진을 받고 당뇨병 이력이 없는 12민859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식습관과 제2형 당뇨병 발생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됐습니다.
교토부립의과대 연구 결과, 4가지 식습관에 따라 당뇨형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추적 기간 중 6729명에게서 2형
당뇨병이 발병했으며, 생활습관에 따라 발병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구체적으로 ‘아침식사를 거른다(주 3회 이상)’, ‘저녁 식사 후 간식(주 3회 이상)’, ‘자기
전에 식사를 한다(취침 2시간 전 주 3회 이상)’, ‘빨리 먹기’ 등 4가지 식습관이 있는 사람에게서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명됐습니다.
이 가운데 당뇨병 발병위험도가 가장 높은 경우는 ‘빨리 먹기’가 1.33로 분석됐으며, 이어
‘아침식사를 거른다(1.33)’, ‘자기 전 식사를 한다(1.08)’, ‘간식(1.0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빨리 먹기’와 ‘아침식사를 거른다’가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침식사를 거르면 식사를 하지 않는 시간이 길어지고 몸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 지방을 대사하게 되는데, 이때 인슐린의 작용을 저해하고, 혈당 상승의 원인이 되는 유리지방산이라는
물질이 분비됩니다.
아울러 식사를 빠르게 할 경우에는, 과식을 하게 될 수 있고, 급격한 혈당치 상승으로 인해 인슐린 분비가 따라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제2형 당뇨병은 혈액 속의 포도당(혈당)이 정상보다 많아지는 병입니다.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기능 저하가 원인으로 인슐린의 기능이 저하되면 혈액 중 포도당 처리가 어려워지고 혈당치가 높은 상태가 지속되는데, 혈당이 높은 상태가 지속될 경우, 서서히 전신의 혈관이나 신경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비만이 아닌 사람도 식습관에 따라 당뇨병에 걸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토부립의과대가 BMI 25 미만과 BMI 25 이상에 속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BMI 25 미만의
경우, 식습관에 따른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BMI 25 이상의 경우는 ‘아침
식사를 거르는 것’ 외 당뇨병 발병률과의 관계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BMI 25 미만은 당뇨병 발병 위험을 낮추는 근본적인 해결책인 ‘체중 조절’의 대상이 되지 않아 식습관에 각별히 신경을 쓸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대유 하는짓 보면 기가 찹니다
2대한민국 주식시장을 쓰레기 투기장으로 만든 정치인들은 알면서도 내비두는거지? 대표의 고의적인 잘못을 주주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게 내비두는 것이 진정 국가가 존개한다라고 볼 수 있나? 개인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상법개정을 하루빨리 시행해라.
3이번일을 계기로 국내 주식시장에 경종을 울리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더이상 주가조작세력을 묵인해선 안될것입니다.
4주가조작세력 및 범죄지들이 국내 주식시장을 어지럽히는 문제점을 없어져야 합니다.
5소액주주 권리, 꼭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의 기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긴 시간 회사의 횡포에도 굳건한 대유 소액주주 연대 항상 응원합니다. 꼭 이루어지길 빌면서…
6귀한정보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7대유 소액주주연대 화이팅하세요. 기자님~ 정확한 정보 기사화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기사 계속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