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국민병이라 불리는 당뇨병…발병 원인은 ‘식습관’?

▶日 교토부립의과대, 당뇨병 발병과 관련해 10년간 약 13만명 추적 조사한 연구 성과 발표

입력 : 2024.05.31 17:00 수정 : 2024.05.31 17:05
[외신] 국민병이라 불리는 당뇨병…발병 원인은 ‘식습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국민병이라고 불리는 당뇨병이 식습관에 따라 발병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일본에서 나왔습니다.

 

31일 일본 일간지 닛간 겐다이(인터넷판)’는 교토부립의과대 연구그룹이 약 13만명을 10년간 추적 조사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2008~2018년까지 10년간 건강검진을 받고 당뇨병 이력이 없는 12859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식습관과 제2형 당뇨병 발생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됐습니다.

 

교토부립의과대 연구 결과, 4가지 식습관에 따라 당뇨형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추적 기간 중 6729명에게서 2형 당뇨병이 발병했으며, 생활습관에 따라 발병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구체적으로 아침식사를 거른다( 3회 이상)’, ‘저녁 식사 후 간식( 3회 이상)’, ‘자기 전에 식사를 한다(취침 2시간 전 주 3회 이상)’, ‘빨리 먹기 4가지 식습관이 있는 사람에게서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명됐습니다.

 

이 가운데 당뇨병 발병위험도가 가장 높은 경우는 빨리 먹기 1.33로 분석됐으며, 이어 아침식사를 거른다(1.33)’, ‘자기 전 식사를 한다(1.08)’, ‘간식(1.0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빨리 먹기아침식사를 거른다가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침식사를 거르면 식사를 하지 않는 시간이 길어지고 몸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 지방을 대사하게 되는데, 이때 인슐린의 작용을 저해하고, 혈당 상승의 원인이 되는 유리지방산이라는 물질이 분비됩니다.

 

아울러 식사를 빠르게 할 경우에는, 과식을 하게 될 수 있고, 급격한 혈당치 상승으로 인해 인슐린 분비가 따라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2형 당뇨병은 혈액 속의 포도당(혈당)이 정상보다 많아지는 병입니다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기능 저하가 원인으로 인슐린의 기능이 저하되면 혈액 중 포도당 처리가 어려워지고 혈당치가 높은 상태가 지속되는데, 혈당이 높은 상태가 지속될 경우, 서서히 전신의 혈관이나 신경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비만이 아닌 사람도 식습관에 따라 당뇨병에 걸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토부립의과대가 BMI 25 미만과 BMI 25 이상에 속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BMI 25 미만의 경우, 식습관에 따른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BMI 25 이상의 경우는 ‘아침 식사를 거르는 것외 당뇨병 발병률과의 관계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BMI 25 미만은 당뇨병 발병 위험을 낮추는 근본적인 해결책인 체중 조절의 대상이 되지 않아 식습관에 각별히 신경을 쓸 필요가 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