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군대가면 건강해진다?... ‘사고’는 늘어나고 있다

▷ 대사증후군 보유 입영 대상자, 입대 후에 건강 개선돼
▷ 건강이 좋아져도.. 군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증가세

입력 : 2024.01.02 17:08 수정 : 2024.01.02 17:11
군대가면 건강해진다?... ‘사고’는 늘어나고 있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병무청이 국군의무사령부와 협업해 병역의무자의 입영 전/후 건강검진 데이터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쉽게 말해, 군대에 입대해야 하는 청년이 입대 전후로 건강 상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는 연구인데요. 이에 대해 병무청은 군대에 가면 건강해진다는 통설을 최초로 통계적으로 입증한 연구로, 중성지방 및 혈압 등 대사증후군 진단 지표에서 개선사실을 확인하여 청년들의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밝혀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사증후군이란 동맥경화와 고혈압,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등 고위험 성인병을 동시다발적으로 겪는 증상을 뜻합니다. 겉으로는 아무런 이상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대사증후군 내에 있는 병이 하나라도 심각해질 경우 바로 증상이 나타납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운동량이 줄어들면서 대사증후군을 겪는 청년 세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국민건강보험의 ‘2022 건강검진통계연보에 따르면, 건강검진 수검인원 17백만 명 중 69.4%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1개 이상 갖고 있는데, 이 중 20대 이하 남자의 비율이 53.6%에 달했습니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청년 10명 중 5명이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보유하고 있는 셈인데요.

 

실제로 대사증후군을 겪는 입영 대상자들은 입대 후, 건강이 상당 부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의 입영 전 평균 중성지방은 115mg/dL이었는데, 입영 후에는 평균 83mg/dL으로 감소(-27.8%)했습니다. 중성지방 대사증후군을 겪는 입영 대상자들의 수도 96,225명에서 입영 후 40,407(-58%)으로 줄어들었는데요.

 

수축기와 이완기의 혈압도 각각 126mmHg, 75mmHg에서 120mmHg, 71mmHg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병무청은 이러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병역의무자들을 위한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이기식 병무청장은 병무청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가 청년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자부심을 느끼게 한다고 밝혔는데요.

 

문제는 군대에서 건강이 개선되었다고 해도, ‘사고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사고로 인해 군대에서 목숨을 잃은 사례가 202055건에서 2021년엔 103건으로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안전사고가 19, 자살 등 군기사고가 84건으로 특히 군기사고가 2020년보다 두배 가깝게 증가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원인 별로는 안전사고의 경우 익사사고가 다수이며, 군기사고의 경우 자살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군 당국이 이런 사고 대처에 미흡하다는 게 문제입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채 상병 사건입니다. 채 상병이 억울하게 목숨을 잃은 사건을 두고, 아직까지도 군 당국 내부에서도 내홍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국방부검찰단은 박정훈 전() 해병수사단장을 군형법상 항명 및 상관명예훼손 혐의로 기소했고, 재판에 출석해 수사를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에 반해 국민권익위원회에서는 채 상병 사망 수사에 외압이 개입했는지 그 의혹을 수사 중에 있는데요. 국무총리가 채 상병의 빈소를 방문할 정도로 정부가 진실을 밝히겠다고 약속했지만, 새해를 맞은 지금까지도 뚜렷한 해결책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2

중증 발달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자립은 탁상행정입니다. 실상을 모르니까 탈시설이라는 말을 쉽게 하는 겁니다. 최소한의 신변 처리도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에게 거주시설은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삶의 자리입니다.

3

일반 성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현저히 낮고, 사고발생율이 50% 더 높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재난에는 특히 더 취약하여 자립지원주택에서는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질병에 노출된 이들을 의료 인력이 충분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에서 편안히 거주하게 해야 한다”

4

자립불가능한 장애인을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하려는 의도가 무엇일까요??? 그들이 부르짖는 인권은 이권의 다른 이름입니다 누가 2살의 말도 못하고 죽음도분별하지못해 도로로 뛰어드는 중증장애인을 자립하라고 합니까??? 전장연과 부모연대는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5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으로 이루어진 단체. 지체장애인들은 인지가 비장애인과 같습니다. 자립의 대상은 지체장애인이며, 전국의 너느 거주시설에도 지체장애인은 없습니다. 즉 지체장애인단체인 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6

유호준 의원은 중증장애인과 단 하루라도 살아보고 자립지원조례안을 만들어 보시오. 중증장애인들과 뭘 어떻게 어느만큼 소통하고 이런 정책을 만들었는지 한심하다 못해 우리의 세금으로 이런 의원들의 세비까지 줘야하는 현실이 매우 부끄럽고 참담합니다.

7

모든 장애인의 장애 정도가 다 동등하지 않습니다. “의사표시와 활동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경증장애인, 그것이 거의 불가능한 중증장애인에 대한 정책은 달라냐합니다.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들은 자립하고, 사회적 인지기능이 3세정도인 중증발달장애인들은 거주시설에서 보호받아야 합니다. 거주시설은 반드시 존치되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