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10명 중 3명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약은 없을까
▷ 술 마시지 않아도 발병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 섬유화 + 지방간염 동반하면 심혈관 질환까지 이어져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 중 하나인 ‘간’, 탄수화물/단백질/호르몬 등의 대사는 물론 각종 노폐물을 해독하고 살균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데요.
간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정상적인 일상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그 중요성이 큽니다.
정상적인 간에는 일반적으로 지방이 5% 정도 있습니다만, 과식하거나 과음을 하면서 점차 지방이 쌓이게 됩니다.
간이 대사할 수 있는 지방의 양이 한계를 넘으면, 지방의 종류 중 ‘중성지방’(트리글리세라이드)이 간세포에 축적됩니다. ‘지방간’이 된 셈입니다.
지방간은 보통 간 무게의 5% 이상을 중성지방이 차지하고 있을 때 발병하며, 이때부터 간은 지방을 원활하게 처리하지 못합니다.
간에서 대사되지 못한 지방은 혈관을 떠돌면서 고지혈증이나 당뇨병 등의 악성 질병을 유발하며, 그 증상도 무증상부터 피로감과 전신 권태감, 우측 상복부의 통증 등 다양합니다.
지방간은 간의 세포를
괴사시키는 지방간염으로 발전하는가 하면, 간이 굳는 간경변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간경변은 딱딱하게 굳은 간이 오그라들면서 빈혈과 전신 쇠약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심각한 병입니다.
지방간은 크게 ‘알코올성’과 ‘비알코올성’으로 나뉩니다. ‘알코올성’의 경우 주된 원인은 ‘음주’입니다. 술을 다량, 그리고 지속적으로 섭취했을 경우 간은 알코올을 대사할 수 있는 능력을 점차 상실하게 됩니다.
심지어 알코올은 대사 과정에서 지방의 합성을 촉진시키며 중성지방이 쌓이는 걸 돕습니다.
눈여겨 봐야할 건 ‘비알코올성’ 지방간입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만성 간 질환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으로, 제2형 당뇨병,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일반인의 10~24%, 비만인의 58~74% 가량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데요. 특히, 최근 우리나라의 식량 여건이 개선되고 식습관이 서구화되면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향후 대중적인 질병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2021년 대한간학회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성인 10명 중 3명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앓고 있으며, 유병률 역시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내과학교실의 조사에 따르면,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존재 자체만으로 심혈관계 질환 발생위험이 증가하며 이것은 고혈압, 비만, 고지혈증, 제2형 당뇨병 같은 대사증후군이 동반되지 않더라도 유의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특히, 주의해야할 건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유발하는 ‘간 섬유화’와 ‘지방간염’입니다.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보건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간이 섬유화된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가 10년 내 심혈관 질환에 걸릴 확률은 중증도에 따라 5.50~8.11배로 증가했습니다.
지방간염을 가졌을 경우엔 그 위험이 4.07배로
나타났는데요. 만약 지방간염과 간 섬유화를 동시에 갖고 있을 때,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율은 4.97~9.42배까지 불어났습니다.
나아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당뇨병 발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슐린 저항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간경변증이나 간세포암 같은 진행성 간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품고 있습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앓는 환자의 90%는
대사증후군의 요소 중 한 가지 이상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김원호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박사 曰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환자에서
지방간염 또는 간 섬유화로 질환이 심화될수록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문제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특효약이 아직까진 뚜렷하게 없다는 사실입니다. 당뇨병치료제(SGLT2 억제제, GLP 수용체 길항체), 비타민 항산화제 등 몇몇 약물이 지방에 간이 쌓이는 것을 억제하는 정도의 효능만 확인된 상태입니다.
이번에 산림청에서 ‘산양삼’ 추출물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억제하는 데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걸 확인했는데, 이 역시 간세포 내 중성지질 축적 현상을 감소해 시켜주는 것에 그쳤습니다.
결국 식이요법 및 운동이 뚜렷한 해결 방안인데, 기름진 음식을 줄이고
야채 위주의 식습관으로 개선해야 한다든가, 일주일에 3번/30분 이상은 땀이 나는 운동을 해서 체중을 감량해야 한다는 등의 방안이 현 상황에선 가장 유효해 보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