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아침 식사는 거르고 탄수화물 대신 지방 섭취... "건강식생활 유도해야"
▷ 서울연구원 '서울시민 식생활 실태 분석과 실생활 정책방향' 보고서
▷ 과일과 채소, 곡물은 줄고 육류 섭취량은 늘어
▷ 서울연구원, "생활터 기반으로 식생활 환경 조성프로그램 운영해야"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해 말 발표된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대해, 지영미 질병관리청 청장은 “20대의 식생활, 30~40대 비만 및 건강행태 악화, 50대 이상에서 만성질환이 지속 증가하여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청장년층의 건강 위험요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아침식사를 거르는 사람들이 늘고, 곡물류 섭취량이 감소한 반면 지방 섭취량이 증가하면서 식습관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사람들의 식습관 경향은 국내 인구의 5분의 1이 거주하는 서울에서 뚜렷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연구원의 ‘서울시민 식생활 실태 분석과 실생활 정책방향’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12년~2021년) 서울시민의 식습관은 계속해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아침 결식률입니다. 아침을 거르는 서울시민은 전국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2년 기준 아침 결식률이 21.1%에서 2021년에 31.6%로 늘었는데, 이는 전국(28%)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 서울시민의 성별, 연령, 소득수준, 가구형태 등으로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성(33.4%)이, 연령별로는 19~29세(58.3%) 청년층, 1인가구(39.8%)가 주로 아침을 먹지 않았습니다. 1인가구 청년층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사회 환경을 감안하면, 서울시민의 아침 결식률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하루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서울시민의 비율은 2017년(34.5%)을 고점으로 하락하다가, 2021년 들어서 다시 반등했습니다. 2021년 기준, 서울시민 외식률은 26.5%로 전국(22.3%)에 비해 높습니다. 서울시민 중 외식이 잦은 사람은 남성(34.4%), 30~49세(40.1%), 가구소득 4분위(33.1%), 1인가구(35.3%)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민은 곡류, 채소류, 과일류
등보다 육류를 자주 먹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10년간 서울시민의
식물성 식품군 섭취량은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그렸습니다. 특히, 과일류
섭취량은 2012년 기준 1일 평균 182.4g에서 2021년에는
121.8g으로 가장 크게 감소했습니다. 서울시민의 과일·채소 500g 미만 섭취율은 2012년
61.4%에서 2021년 71.7%로 10%p 넘게 증가했습니다. 주로 여성(72.9%), 19~29세(88.4%), 1인가구(76.3%)가 과일·채소를 비교적 적게 섭취했습니다. 반면, 육류의 섭취량은 같은 기간 110.0g에서 149.1g으로 증가했습니다. 이와 함께 음료류 섭취량도 2013년 1일 평균 185.4g에서
2021년 267.1g으로 늘었는데요.
그 결과, 서울시민 대부분은 탄수화물보다 지방에서 주로 에너지를 얻었습니다. 탄수화물과 지방으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는 2012년 기준 각각 21.1%, 63.8%에서 2021년에 26.5%, 57.5%로 변화했습니다. 탄수화물을 다량 섭취하는 게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확산된 점 등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인상적인 점은, 건강에 신경을 쓰는 서울시민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지난 10년간 서울시민의 건강식생활 실천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2년 37.2%에서 2021년 45.1%로 늘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민의 나트륨, 당 섭취량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는데요. 다만, 그렇다고 해서 건강 지표가 양호한 건 아닙니다. 서울시민의 비만,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지방 섭취가 많아지면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지난 10년간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2012년 기준 11.7%에서 2021년 27.1%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전국(25.4%) 대비 높은 수준입니다.
★건강식생활 실천율: 지방, 나트륨, 과일 및 채소, 영양표시 등 4개
지표 중 2개 이상을 만족하는 분율. △지방에너지적정비율
내 지방 섭취 △나트륨을 하루 2,000mg 미만 섭취 △과일 및
채소 섭취량 합계 1일 500g 이상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확인 등의 지표로 이루어져 있음
서울연구원은 서울시가 전국에 비해 식생활 문제가 높다고 진단했습니다. 높은 아침 결식률과 외식률, 에너지 및 지방의 과잉섭취 등 영양소 과잉섭취와 관련된 문제가 만연하다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다른 형태의 식생활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건강식생활 환경 및 실천 유도’ 영역이 7개 식생활 정책 영역 중 시급성과 중요도 측면에서 두 번째로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며, “이 영역의 경우 전국에 비해 서울시에서 더 중요한 영역”이라고 밝혔습니다. 과일과 채소의 섭취를 늘리고, 당 섭취는 줄이며, 만성질환을 예방·관리할 수 있는 식생활을 형성해야 한다는 겁니다.
서울연구원은 “서울시에서 당 섭취 저감화 사업, 채식 확대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지만, 학교와 직장 등 생활터 기반의 프로그램과 온라인 채널을 활용한 사업 홍보나 캠페인 등의 운영은 미흡하다”며, 서울시가 건강식생활 환경 조성 프로그램을 더욱 더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전장연 은 사라져야 합니다 장애인 중 에서도 불쌍한 중증발달장애인 의 보금자리를 공격하여 배 를 불리려하는 일에 혈안 이 되었습니다. 같은 시대에 대한민국 사람으로 산다는게 창피하고 괴롭습다. 당신들은 그곳에서 정의(?)롭게 사시기바랍니다. 제발 귀국 하지 마세요!!!
2서울시가 자립정책 이념에 따라 2021년 폐쇄된 김포시 거주시설 ‘향000’에서 자립한 중증장애인 55명을 추적 조사했는데, 6명이 퇴소 후 3년 안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자립한 장애인 10.9%가 사망에 이른 통계였다고 하면서, 4명은 다른 시설에 입소했고, 7명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38명은 서울시 지원 주택에서 ‘자립’하고 있는데 이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은 9명뿐이었다고. 다른 9명은 고갯짓이나 ‘네’ ‘아니오’ 정도의 말만 가능했고, 20명은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분들이었다. 장애인 자립은 죽음이다.
3un 은 장애인들의 자립은 지제장애인, 정신장애인으로 제한한다고 했다.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이다. 최보윤, 김예지. 서미화 의원은 장애에는 여러유형이 있고,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이 있고, 자립할 수 없는 장애인ㅇ이 있다는 것을 먼저 공부하라!!
4중증발달장애인을 죽음으로 내모는 약덕법을 철회하라
5증증장애인시설을 존치하고 확대하라 지금도 집에서 고통받고 있는가족들 구하라 차립할대상은 자립하고 증증은 시설에서 사랑받고 케어해주는 일은 당연 하고 복지국가 로 가는길이다 탈시설 철회하라
6증증발달장애인 시설을 업애려면 전국 병원 용양원 을 업애버려라 자폐 발달 정산지제 증증도 환자도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환자다 탈시설을외치는 자들은 우리 증증아이들을 죽이러 하는가 시설에서 잘사는것도인권이고 평등 사랑이다 탈시설화 철회 하라 시설 존치 신규 시설 늘여야 한다
7전장연 을 해체하고 박경석을구속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