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아침 식사는 거르고 탄수화물 대신 지방 섭취... "건강식생활 유도해야"
▷ 서울연구원 '서울시민 식생활 실태 분석과 실생활 정책방향' 보고서
▷ 과일과 채소, 곡물은 줄고 육류 섭취량은 늘어
▷ 서울연구원, "생활터 기반으로 식생활 환경 조성프로그램 운영해야"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해 말 발표된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대해, 지영미 질병관리청 청장은 “20대의 식생활, 30~40대 비만 및 건강행태 악화, 50대 이상에서 만성질환이 지속 증가하여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청장년층의 건강 위험요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아침식사를 거르는 사람들이 늘고, 곡물류 섭취량이 감소한 반면 지방 섭취량이 증가하면서 식습관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사람들의 식습관 경향은 국내 인구의 5분의 1이 거주하는 서울에서 뚜렷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연구원의 ‘서울시민 식생활 실태 분석과 실생활 정책방향’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12년~2021년) 서울시민의 식습관은 계속해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아침 결식률입니다. 아침을 거르는 서울시민은 전국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2년 기준 아침 결식률이 21.1%에서 2021년에 31.6%로 늘었는데, 이는 전국(28%)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 서울시민의 성별, 연령, 소득수준, 가구형태 등으로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성(33.4%)이, 연령별로는 19~29세(58.3%) 청년층, 1인가구(39.8%)가 주로 아침을 먹지 않았습니다. 1인가구 청년층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사회 환경을 감안하면, 서울시민의 아침 결식률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하루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서울시민의 비율은 2017년(34.5%)을 고점으로 하락하다가, 2021년 들어서 다시 반등했습니다. 2021년 기준, 서울시민 외식률은 26.5%로 전국(22.3%)에 비해 높습니다. 서울시민 중 외식이 잦은 사람은 남성(34.4%), 30~49세(40.1%), 가구소득 4분위(33.1%), 1인가구(35.3%)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민은 곡류, 채소류, 과일류
등보다 육류를 자주 먹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10년간 서울시민의
식물성 식품군 섭취량은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그렸습니다. 특히, 과일류
섭취량은 2012년 기준 1일 평균 182.4g에서 2021년에는
121.8g으로 가장 크게 감소했습니다. 서울시민의 과일·채소 500g 미만 섭취율은 2012년
61.4%에서 2021년 71.7%로 10%p 넘게 증가했습니다. 주로 여성(72.9%), 19~29세(88.4%), 1인가구(76.3%)가 과일·채소를 비교적 적게 섭취했습니다. 반면, 육류의 섭취량은 같은 기간 110.0g에서 149.1g으로 증가했습니다. 이와 함께 음료류 섭취량도 2013년 1일 평균 185.4g에서
2021년 267.1g으로 늘었는데요.
그 결과, 서울시민 대부분은 탄수화물보다 지방에서 주로 에너지를 얻었습니다. 탄수화물과 지방으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는 2012년 기준 각각 21.1%, 63.8%에서 2021년에 26.5%, 57.5%로 변화했습니다. 탄수화물을 다량 섭취하는 게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확산된 점 등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인상적인 점은, 건강에 신경을 쓰는 서울시민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지난 10년간 서울시민의 건강식생활 실천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2년 37.2%에서 2021년 45.1%로 늘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민의 나트륨, 당 섭취량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는데요. 다만, 그렇다고 해서 건강 지표가 양호한 건 아닙니다. 서울시민의 비만,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지방 섭취가 많아지면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지난 10년간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2012년 기준 11.7%에서 2021년 27.1%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전국(25.4%) 대비 높은 수준입니다.
★건강식생활 실천율: 지방, 나트륨, 과일 및 채소, 영양표시 등 4개
지표 중 2개 이상을 만족하는 분율. △지방에너지적정비율
내 지방 섭취 △나트륨을 하루 2,000mg 미만 섭취 △과일 및
채소 섭취량 합계 1일 500g 이상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확인 등의 지표로 이루어져 있음
서울연구원은 서울시가 전국에 비해 식생활 문제가 높다고 진단했습니다. 높은 아침 결식률과 외식률, 에너지 및 지방의 과잉섭취 등 영양소 과잉섭취와 관련된 문제가 만연하다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다른 형태의 식생활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건강식생활 환경 및 실천 유도’ 영역이 7개 식생활 정책 영역 중 시급성과 중요도 측면에서 두 번째로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며, “이 영역의 경우 전국에 비해 서울시에서 더 중요한 영역”이라고 밝혔습니다. 과일과 채소의 섭취를 늘리고, 당 섭취는 줄이며, 만성질환을 예방·관리할 수 있는 식생활을 형성해야 한다는 겁니다.
서울연구원은 “서울시에서 당 섭취 저감화 사업, 채식 확대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지만, 학교와 직장 등 생활터 기반의 프로그램과 온라인 채널을 활용한 사업 홍보나 캠페인 등의 운영은 미흡하다”며, 서울시가 건강식생활 환경 조성 프로그램을 더욱 더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우선 상법개정 정책 토론회를 주관해 주신 민주당과 계속해서 관련 기사를 써 주시는 이정원 기자님께 감사합니다 내 자산이 동결되고 하루 아침에 상폐되어 삶이 흔들려도 상폐사유서 조차 볼 수 없는 지금의 상법은 너무나 구 시대적 유물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허위공시~! 그것을 복붙하여 사실인양 옮겨 퍼 나르던 유튜버들~!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스러져갔습니다. 시대가 변했음에도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거짓핫이슈에 대해 모니터링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지 않았고 배임횡령에 가담한 이사들은 주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이사충실의무! 주주에게까지 확대해야 한국 주식시장도 질서가 잡힐거라 확신합니다
2주주들을 자기들 배나 채우는 도구로만 보니 이화3사 처럼 배임 횡령으로 개인투자자 들만 죽어나고 배임횡령한 자는 잘살게하는게 이나라 상법입니다 얼마나 더 주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삶을 놓아야 제대로 된 상법개정을 하실건가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원합니다
3상법개정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행복해집니다
4이화3사 경영진과 김영준은 소액주주들에 피같은 돈을 공시 사기쳐 배를 채운 악덕기업입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없게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려면 상법개정이 절실합니다
5주식시장이 이렇게도 상황이 안좋은데, 상법개정이 통과되어 주식시장 선진화를 통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또한 이화그룹주주연대 김현 대표님의 뜻처럼 거래정지와 상장폐지에 대한 고찰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6개인투자자를 위해 상법개정 반드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이정원 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7개인 투자자의 보호를위해서 상법 개정으로.. 이화그릅 주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