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22

15일 국회에서 ‘이재명 정부의 주거빈곤 해소 로드맵 제안-집다운 집에서 살고싶다’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위즈경제)

‘지하·옥탑·고시원’에 176만 가구가 산다…주거정책 대전환 시급

▷“집다운 집에 살고 싶다”…주거빈곤 176만 가구 ▷“공공임대 확대·주거급여 현실화 시급”…전문가들 정책 개선 촉구 ▷“재난 닥치기 전 지하·쪽방 실태부터 조사하라”…제도 개편 목소리 확산

경제 > 부동산    |   이수아 기자    |   2025.09.16

휴메딕스, 성남시 금토천 환경정화 활동 ‘플로깅’ 실시(사진=휴메딕스)

휴메딕스, 하천 일대 환경정화 활동 펼쳐...ESG 경영 실천

▷휴메딕스, 지역사회와 연게한 하천 일대 환경정화 활동 실시 ▷"앞으로도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 적극 전개해 지역사회와 동반 성장하는 기업될 것"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8.28

강경숙 조국혁신당 국회의원이 주최한 <정치하는 아이들> 저자 김기수 작가의 북토크가 14일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렸다. (사진=위즈경제)

정치하는 아이들과 어른의 대화…강경숙, 강릉 초등생들과 민주주의 북토크

▷ 강경숙 의원 주최, 참여형 민주주의 의식 높이는 북토크 개최 ▷ <정치하는 아이들> 저자 초청… 책 속 강릉 지역 초등생들 참여

교육 > 교육일반    |   전희수 기자    |   2025.08.14

12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청년 부채 악순환, 구조를 바꿔야 끊어진다'를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청년 부채 악순환, 구조를 바꿔야 끊어진다' 토론회 개최

▷12일 국회의원회관서 토론회 열어 ▷청년 부채 관련 포괄적·실효적 정책 논의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8.13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주4일제 도입에 커지는 관심...보건의료노동자 75.6% "도입 찬성"

▶국내 주4일제 도입 논의 가속화...보건의료노동자 75.6% 주4일제 도입 찬성 ▶"주4일제 도입과 육아휴직제도 확대 시 결혼과 출산에 긍정적 효과 가져다 줄 것"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7.03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입법조사처 "공무원의 기본권, 최대한 보장토록 엄정 규정해야"

▷지난달 18일 '공무원의 정치적 자유권과 선거중립의무' 보고서 발간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4.04.09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금리 인하 시동 거나?... 美 PCE지수에 쏠리는 시선

▷ 지난주 스위스국립은행의 깜짝 금리 인하 결정.. 시장 기대감 커져 ▷ 국제금융센터, "미국 PCE 가격지수, 금리인하 결정에 매우 중요할 것"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3.25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코로나로 막혀있던 하늘길 '뻥' 뚫렸다...지난해 항공교통량 전년 대비 44.6% 증가

▷지난해 한국 항공교통량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 ▷문체부, 방한 관광객 2000만 명 달성을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 나서

경제 > 경제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1.19

출처=위즈경제

[위포트] 참여자 약 73%, "이민청으로 저출산 해결 못해" ①

위고라 > Weport    |   류으뜸 기자    |   2024.01.11

(출처=장제원 페이스북)

친윤계 중진 장제원 내년 총선 불출마 공식 선언…”이제 잠시 멈추려 한다”

▷장제원, 12일 국회에서 내년 총선 불출마 공식 선언 ▷더불어민주당, 내년 총선 대비한 1호 영입 인재로 기후 위기 전문가 박지혜 변호사 선정

사회·정치 > 정치    |   이정원 기자    |   2023.12.12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