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위와 잦은 비로 해충 기승...민원 1.8배 증가
▶국민권익위원회, 한 주간 접수된 민원 분석 결과, 방역 요청 민원 전주 대비 1.8배 증가 ▶영등포구, 여름철 불청객 모기로부터 구민 불편 최소화 위한 사전 박멸 나서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이정원 기자 | 2024.06.05

[기획연재] ‘무인 자율주행’ 시대…이렇게 준비한다 ①
▷자율주행 시스템 전문 개발 리딩기업 ‘에스더블유엠 ▷에스더블유엠 소속 정일상 부장/유한민 실장 인터뷰
산업 > 중기/벤처 | 이정원 기자 | 2023.11.23

"색이 화려하면 독버섯이다?"... 대부분 잘못된 정보, 식용 가능 버섯 493종에 불과
▷ 국립수목원, '독버섯 주의보' 발령 ▷ 국내 버섯 2,170종 중 식용 가능한 건 493종 뿐 ▷ 독버섯마다 함유하고 있는 성분 달라 치료 어려워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9.25

잼버리 참가자 3만7천명 전국 각지로 대이동…K팝 공연∙퇴영식 11일 서울서
▷태풍 카눈 피해 잼버리 참가자 3만7000여명 전국 각지로 대피 ▷서울시, 응급 환자 대비한 ‘서울 비상의료상황실’ 운영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08.09

근육에 좋은데, 탈모에 효과적?... 국내 연구진, 고소애 추출물 효능 확인
▷ 나이들면 자연스레 찾아오는 '근육감소증'... 속도가 빠르면 문제돼 ▷ '종아리둘레' 측정 등 자가진단 가능해 ▷ 별다른 치료제 없지만... '고소애'에서 효능 발견
종합 > 종합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02.10

올 가을, 야외활동 시 조심해야 할 유해생물 3
▷ 천고마비의 계절, 야외활동 많은 만큼 벌레 물림 조심 ▷ '살인진드기', 쯔쯔가무시증, 일본뇌염 등 ▷ 태풍으로 인해 설치류 중심 감염병 번질 수 있어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2.09.08

치명율 100%, '소나무재선충병'이란
▷ 우리나라 대표 나무, 소나무 ▷ 감염률 높고 치사율 100%인 소나무재선충병 재유행 조짐
사회·정치 > 전국 | 김영진 기자 | 2022.07.11

어쩌다 2030들은 ‘코인충’,’주식충’이 됐을까?
▷ 주식 및 암호화폐 연일 하락세…향후 미래도 밝지 않아 ▷ 계층 사다리 단절 등이 주요 원인…극단적 선택하기도 ▷ 정부, 가사자상 시장 규율하는 법 제정에 속도 낼 듯
산업 > 블록체인 | 류으뜸 기자 | 2022.06.23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