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기획연재] ‘무인 자율주행’ 시대…이렇게 준비한다 ①

▷자율주행 시스템 전문 개발 리딩기업 ‘에스더블유엠
▷에스더블유엠 소속 정일상 부장/유한민 실장 인터뷰

입력 : 2023.11.23 15:38 수정 : 2023.11.24 11:24
[기획연재] ‘무인 자율주행’ 시대…이렇게 준비한다 ① (출처=Google Deepmind 홈페이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2016년은 가히 ‘AI(인공지능)의 시대’를 연 해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구글 딥마인드의 바둑 AI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4:1로 꺾으며, 수많은 사람들에게 충격과 놀라움을 안겨줬던 해였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보다 앞선 지난 1997년 IBM의 슈퍼컴퓨터 딥블루가 당시 체스 세계 챔피언이었던 가리 카스파로프에게 두 번의 도전 끝에 승리를 거뒀을 때도 적지 않은 충격을 남겼었지만, 체스와 비교해 경우의 수에서 압도적인 차이를 보이는 바둑에서 인간의 패배는 당시까지만 해도 상상할 수 없는 사건이었습니다. 하지만 결과론적으로 AI는 인간보다 뛰어난 정교함과 합리성을 전 세계에 선보이며, 승리를 거머줬습니다. 

 

이후에도 알파고의 진화는 계속됐습니다. 1년 뒤 등장한 알파고 제로는 인간의 도움 없이 스스로 바둑을 익히는 방식으로 36시간 만에 이세돌을 꺾은 알파고를 능가하는 성능을 보였습니다. 이로써 AI는 특정 영역에서 인간 수준의 지능을 토대로 우리 일상을 보조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 이렀음을 증명한 것입니다.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국 후 7년이 지난 지금, AI는 우리 곁에 성큼 다가와 일상생활 곳곳에 녹아들고 있습니다. 

 

아울러 AI 기술을 기반으로 공상과학 영화나 소설에서 나올 법한 기술들이 현실의 일부분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차량 스스로가 운전을 수행하는 자율주행기술은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이 상용화를 목표로 막판 스퍼트에 들어가며, 본격적인 자율주행차 시대에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지난 8월 제너럴모터스(GM)와 구글 웨이모는 운전기사가 필요 없는 자율주행 레벨 4 기술이 탑재된 로보택시를 24시간 유료 서비스를 운영을 시작한 바 있습니다. 아울러 한국 정부 역시 2027년 레벨4에 해당하는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최근 로보택시가 운행된 뒤로 크고 작은 사고가 잇따르면서 자율주행기술 상용화 전 문제점도 산재해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전문 기업인 에스더블유엠 관계자들과 만나 자율주행기술의 현주소와 궁금증을 낱낱이 파헤쳐봤습니다.

 

■자율주행차량의 시장규모와 전망



AP-500을 탑재해 실제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량의 모습(출처=위즈경제)  

 

이날 인터뷰를 함께 진행한 에스더블유엠 정일상 전략기획실 부장과 유한민 자율주행테크센터 실장은 자율주행차량 글로벌 시장 규모가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자율주행차량 시장의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실제로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올해 초에 내놓은 ‘자율주행의 미래: 편의성과 연결성 (Autonomous driving’s future: convenient and connected)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레벨별 자율주행차량의 매출은 2022년부터 2035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아울러 22년~25년까지 레벨 2단계(부분 운전자동화) 자율주행 시스템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이후 레벨 3 시스템(조건부 자율주행)의 등장으로 자율주행 고도화 시대로 전환이 가속되면서 30년~35년 사이 레벨 4(고도 자율주행) 시장이 급속도로 커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국내 자율주행차량 시장 규모 역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자율주행자동차 국내 시장 규모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레벨 3 자율주행 자동차 매출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2025년부터 레벨 4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가 본격화돼 2030년에는 신차의 12%가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자율주행 차량 상용화의 한계와 극복방안은?



인터뷰를 진행 중인 정일상 전략기획실 부장(출처=위즈경제)

 

자율주행차량 서비스를 이용해 본 사용자들의 반응도 뜨겁습니다. 정일상 부장은 지난 10월 코엑스에서 진행된 한국전자전(KES)에서 에스더블유엠의 자율주행차량을 탑승했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80~90%의 탑승자들이 자율주행차량 시승에 긍정적인 평가를 줬다. 차량의 안전성과 편의성 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향후 자율주행서비스를 계속해서 이용하고 싶은지를 물은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70% 수준으로 자율주행차량 시승에 대한 평가보다 낮게 나타났습니다. 정 부장은 “자율주행차량이지만 법적 기준에 따라 안전 요원이 탑승해야 하고 시연을 차량 유동량이 많은 강남 지역에서 실시했다는 점과 제한 속도 50km를 준수 등 다양한 요인들이 겹쳐지면서 앞선 설문보다 다소 낮게 평가 된 것 같다“고 했습니다. 

 

 
인터뷰를 진행 중인 유한민 자율주행테크센터 실장(출처=위즈경제) 

 

자율주행차량 기술의 현주소에 대해서 유한민 실장은 “아직 자율주행차량이 사람의 보조 없이 완벽한 주행을 할 수 있는 단계까지 가기 위해선 기술적으로 성숙할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기면서 AI 기술의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AI 시장을 급속도로 확장시킨 것처럼 자율주행기술 역시 특정 시기가 지난 후에 엄청난 기술적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한편, 최근 미국에서 로보택시 상용화로 인해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것에 대해 유 실장은 “웨이모 등 미국 자율주행업체들은 원격주행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운행 중인 자율주행차량이 사고가 나거나 갑작스럽게 정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관제를 통해 원격으로 차량을 조작하거나 차량 탑승자에게 경보를 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유 실장은 레벨 4 자율주행시스템의 센서, 제어기 등의 고장으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안전성이 보장된 자율주행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고장재현 및 통합 안전검증’ 기술개발에도 힘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유 실장은 “고장재현 및 통합 안전검증 기술은 자율주행차량 주행 시 예기치 못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를 대비해 차량 자체적으로 위험도를 평가하고 이후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해당 기술 개발을 위해 수많은 정부 기관 및 연구소들과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에스더블유엠 로고의 모습(출처=위즈경제) 

 

현재 에스더블유엠은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을 보다 정교하게 구현하기 위해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개발한 자율주행시스템 암스트롱 5세대(AP-500) 성능 향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AP-500은 자율주행 4단계 실현을 위해 에스더블유엠에서 독자 개발한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최대 1200TOPS(초당 테라연산)의 연산이 가능한 자율주행에 최적화된 AI 컴퓨터입니다. AP-500은 슈퍼컴퓨터급 성능을 구현했음에도 크기는 일반 개인용 컴퓨터 본체 크기에 불과합니다.

 

향후 에스더블유엠의 계획에 대해서 정 부장은 “현재 에스더블유엠은 서울에서 가장 복잡하다고 불리는 강남에서 자율주행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더 나은 주행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힘을 쓰고자 한다”며, “아울러 고장재현 및 통합 안전검증 기술 등 자율주행차량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

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

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

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

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

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

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