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Poll&Talk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첨예한 이슈들에 대해 대국민적 여론을 수렴합니다. 투표 결과와 댓글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공정한 투표를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폴앤톡] 참사 이후, 침체에 빠진 이태원 상권... 정부 지원 필요할까

244명 참여
투표종료 2023.01.04 14:42 ~ 2023.01.18 11:19
[폴앤톡] 참사 이후, 침체에 빠진 이태원 상권... 정부 지원 필요할까 이태원 참사 발생 현장 (출처 = 위즈경제)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어느덧 68일이 흘렀습니다. 그 사이 대한민국은 새해를 맞았습니다. 

 

3년 만에 울린 제야의 종 타종 행사에는 10만 명이 모였고, 많은 사람들이 전국의 명소를 찾아 일출을 바라봤습니다.

 

하지만, 전년도를 보내는 아쉬움과 신년에 대한 기대감이 뒤섞여 있는 지금 이 시기에도 이태원엔 여전한 적막이 흐르고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있어서 이태원은 하나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듯합니다.

 

이제 이태원은 외국으로부터 온 열기와 우리나라의 젊음이 혼합된 활기찬 거리라기 보다는 159명이라는 희생자를 위한 추모와 애도의 공간이 되었습니다.

 

청년들이 먹고 떠들던 곳이 서로 간의 슬픔과 고통을 나누는 장소로 변모했고, 이 괴리감이 사람들로 하여금 이태원을 보다 ‘먼’ 장소로 인식하게 만들었습니다.

 

어떤 의도를 갖고 있든 이태원을 방문하는 일 자체가 그리 쉽지 않게 된 셈입니다. 이태원에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상인들에게 있어서, 이것은 현실에 차갑게 맞닿는 ‘사실’입니다.

 

이태원의 상권은 지난 참사 이후 완전히 가라앉은 듯합니다. 영업을 하고 있는 점포를 찾기가 힘든 건 물론, 매출에 큰 타격을 받은 가게 주인들은 너도나도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데요.

 

소상공인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의 한 네티즌은 “가게를 하는 입장이라 이태원 상권 사장님들에게도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며, “코로나가 많이 끝나가고 이제서야 상권이 생기를 찾아가는 와중에 이런 안타까운 사고로 상권이 다시 힘들어지게 생겼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다른 네티즌들 역시 “상권이 다시 살아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왜 이태원 소상공인이 피해를 봐야하냐, 너무 억울하다”며 안타까움을 표했습니다.

 

문제는 한 가지 더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문제가 정치적으로 비화되면서, 일부 보수 성향 단체와 유튜버들이 이태원에 모여 집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고, 사망도 국가가 책임지고, 대통령이 사과해야 합니까?” 등의 내용이 담긴 현수막이 걸렸고, 유족들에 대한 2차 가해성 혐오 발언도 공공연하게 등장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한 상인들의 피로감도 극심한 상황입니다.

 

결국, 침체된 이태원의 상권을 살리기 위해 유족들과 상인회가 손을 모았습니다.

 

지난해 12월 21일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조성한 이태원역 1번출구 앞 추모공간을 정리했고, 23일엔 ‘희생자의 온전한 추모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재단장 및 대책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유족들은 정부와 지자체에게 이태원역 인근 주민, 상인들을 위한 심리지원, 생계지원 등을 요구했습니다.

 

이에 서울시가 ‘이태원 상권 회복자금’을 마련해 이태원 일대의 매장형 업체를 운영중인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최대 3,000만 원, 연 2.0% 고정금리로 대출을 제공하겠다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정치권에선 이태원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를 놓고 씨름하고 있을 뿐, 이태원 상권을 살리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와 관련, 박성현 시민대책회의 피해자권리위원회 활동가는 “정부는 참사 진실을 밝히기 위한 조사, 시민의 애도와 기억의 마음을 보듬는 일, 발걸음 끊긴 지역과 상가를 겨우 지키는 상인들을 살폈어야 한다”며, 정부의 무관심을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태원 참사 발생한 지 68일, 여전히 침체되어 있는 이태원 상권을 살리기 위한 정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24

댓글 더보기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