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앤톡] 참사 이후, 침체에 빠진 이태원 상권... 정부 지원 필요할까
이태원 참사 발생 현장 (출처 = 위즈경제)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어느덧 68일이 흘렀습니다. 그 사이 대한민국은 새해를 맞았습니다.
3년 만에 울린 제야의 종 타종 행사에는 10만 명이 모였고, 많은 사람들이 전국의 명소를 찾아 일출을 바라봤습니다.
하지만, 전년도를 보내는 아쉬움과 신년에 대한 기대감이 뒤섞여 있는 지금 이 시기에도 이태원엔 여전한 적막이 흐르고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있어서 이태원은 하나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듯합니다.
이제 이태원은 외국으로부터 온 열기와 우리나라의 젊음이 혼합된 활기찬 거리라기 보다는 159명이라는 희생자를 위한 추모와 애도의 공간이 되었습니다.
청년들이 먹고 떠들던 곳이 서로 간의 슬픔과 고통을 나누는 장소로 변모했고, 이 괴리감이 사람들로 하여금 이태원을 보다 ‘먼’ 장소로 인식하게 만들었습니다.
어떤 의도를 갖고 있든 이태원을 방문하는 일 자체가 그리 쉽지 않게 된 셈입니다. 이태원에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상인들에게 있어서, 이것은 현실에 차갑게 맞닿는 ‘사실’입니다.
이태원의 상권은 지난 참사 이후 완전히 가라앉은 듯합니다. 영업을 하고 있는 점포를 찾기가 힘든 건 물론, 매출에 큰 타격을 받은 가게 주인들은 너도나도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데요.
소상공인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의 한 네티즌은 “가게를 하는 입장이라 이태원 상권 사장님들에게도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며, “코로나가 많이 끝나가고 이제서야 상권이 생기를 찾아가는 와중에 이런 안타까운 사고로 상권이 다시 힘들어지게 생겼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다른 네티즌들 역시 “상권이 다시 살아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왜 이태원 소상공인이 피해를 봐야하냐, 너무 억울하다”며 안타까움을 표했습니다.
문제는 한 가지 더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문제가 정치적으로 비화되면서, 일부 보수 성향 단체와 유튜버들이 이태원에 모여 집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고, 사망도 국가가 책임지고, 대통령이 사과해야 합니까?” 등의 내용이 담긴 현수막이 걸렸고, 유족들에 대한 2차 가해성 혐오 발언도 공공연하게 등장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한 상인들의 피로감도 극심한 상황입니다.
결국, 침체된 이태원의 상권을 살리기 위해 유족들과 상인회가 손을 모았습니다.
지난해 12월 21일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조성한 이태원역 1번출구 앞 추모공간을 정리했고, 23일엔 ‘희생자의 온전한 추모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재단장 및 대책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유족들은 정부와 지자체에게 이태원역 인근 주민, 상인들을 위한 심리지원, 생계지원 등을 요구했습니다.
이에 서울시가 ‘이태원 상권 회복자금’을 마련해 이태원 일대의 매장형 업체를 운영중인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최대 3,000만 원, 연 2.0% 고정금리로 대출을 제공하겠다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정치권에선 이태원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를 놓고 씨름하고 있을 뿐, 이태원 상권을 살리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와 관련, 박성현 시민대책회의 피해자권리위원회 활동가는 “정부는 참사 진실을 밝히기 위한 조사, 시민의 애도와 기억의 마음을 보듬는 일, 발걸음 끊긴 지역과 상가를 겨우 지키는 상인들을 살폈어야 한다”며, 정부의 무관심을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태원 참사 발생한 지 68일, 여전히 침체되어 있는 이태원 상권을 살리기 위한 정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Poll&Talk 진행 중인 Poll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