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플러스] “이태원 상권, 정부가 살려야 한다”…. 참여자 60%, 정부 지원 필요하다고 응답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투명한 여론조사, 위즈경제의 ‘Poll & Poll’에서 “참사 이후, 침체에 빠진 이태원 상권… 정부 지원 필요할까”란 주제로 투표를 진행한 결과, ‘이태원 상권을 살리기 위한 정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참여자가 약 59%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투표는 지난 1월 4일부터 18일까지 약 2주간 진행되었으며, 총 243명이 참여했습니다.
먼저, “이태원 상관을 살리기 위한 정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란 질문에 ‘그렇다’라고 응답한 참여자가 31.3%로 가장 많았습니다.
‘매우 그렇다’가 27.6%로, 두 응답을 합쳤을 경우 정부가 이태원 상권을 살리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참여자가 58.9%에 달하는데요. 반면, ‘그렇지
않다’는 참여자 비율이 18.9%, ‘전혀 그렇지 않다’는 비율은 12.8%로 나타났습니다.
‘잘 모르겠다’는 참여자는 9.9%입니다.
참여자의 대다수(58.9%)는 이태원 상권을 살리기 위해 정부가 힘을 써야 한다는 의견에 뜻을 모았습니다. 참사 이후 괴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은 이태원 상권을 구제할 수 있는 곳은 정부밖에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참여자 A는 “(정부의) 잘못이든 아니든 일단 보살펴줘야 한다”며, “정부 차원에서 돕는 일이 맞다”고 응답했습니다. 참여자 B는 “이태원 상인들이 무슨 잘못이냐”며, “정부 차원에서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는데요.
반면, 이태원 상권을 정부가 책임지는 것에 대한 회의적인 목소리(참여자 비율 31.7%)도 있었습니다. 참여자 C는 “사정은
딱하지만 (정부가) 상인들 사정까지 보살피는 건 아닌 것
같다”고 이야기했으며, 참여자 D 역시 “상인들에겐 안된 이야기지만,
정부가 나서서 상권을 살린다고 빠른 시일 내에 살아날 수 있을까 의문이다”라고 전했습니다. 이태원 상권 관련한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가 아니라 해당 지자체인 용산구가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이태원 상인들을 위해 필요한 정부 차원의 지원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란 질문에 가장 많은 참여자(31.5%)가 ‘초저금리 대출, 지원금, 월세 지원 등 재정적인 지원책’이라고 응답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이태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치유의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게끔 하는 정부 주도 프로젝트’(23%), ‘정부 주도 정책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19.7%), ‘참사로 인한 트라우마를 치료할 수 있게끔 돕는 심리 지원 프로그램’(16.4%) 등의 순인데요.
‘기타’(0.9%) 의견으로는 “(정부가 아니라) 용산구청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 “국정조사를 통한 참사 마무리” 등이 있었습니다.
위고라 참여자 중 30% 이상은 이태원 상인들에게 재정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실제로 이태원 상인들은 높은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것도 모자라, 참사가 발생해 생활고로 허덕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동희 이태원관광특구협회장은 “참사가 일어난 지역은 장사가 안돼 대부분 문을 닫고 있다”고 이야기한 바 있는데요. 정부에서도 이들에 대한 재정적 지원의 필요성을 체감한 듯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태원 1,2동 소상공인들에게 ‘긴급경영 안전자금’을 지원해 업체당 최대 7,000만 원을 대출해주었습니다. 대출 기간은 5년에서 7년 금리도 2.0%에서 1.5%로 인하한 바 있습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원스톱지원센터를 지난 16일
설치했으며, 정부 정책자금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이태원 소상공인들을 위해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세금감면, 유예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영 중기부 장관 曰 “이태원과 같이 해외에서도 오고 싶어하는 세계적인 상권이 무너지는 것은 국가적인 손실”
마지막으로 “이태원역 인근에서 진행되고 있는 보수 단체/유튜버의 시위를 제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나요?”란 질문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참여자 비율이 39.5%, ‘그렇다’가 18.5%로
이태원역 인근 시위에 비판적인 참여자들(58%)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보통이다’라는 참여자 비율이 21%,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는 각각 17.7%, 3.3%에 달했습니다.
이태원 인근에서는 아직까지도 유튜버, 보수단체에 의한 시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태원 상인들과 유가족들은 이들의 시위가 2차 가해에 해당한다며 여러 차례 고통을 호소한 바 있는데요.
참여자 E는
“이태원 참사를 정쟁의 대상으로 삼아 조회수를 올리려는 유튜버들은 강제적으로 치워야 한다”며 강력히 비판했고, 참여자 F 역시
“다른 건 몰라도 우파 유튜버는 좀 몰아내야 한다”며 의견에
힘을 더했습니다.
Poll의 한 참여자는 “억울하게 돌아가신 고인들도, 뜻하지 않게 생업에 막대한 손해를 입은 상인들도 모두 피해자”라고 전했습니다.
이태원 참사는 시시비비를 가리기 힘들 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의 마음 속에 큰 피해를 남겼습니다. 명백한 가해자를 지목하기도 힘듭니다. 때문에 유족들과 상인이 고통에 신음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건 ‘향후 대처’일 것입니다.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에서 그 책임소재를 밝히는 일도 중요하지만, 더욱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은 ‘피해자’과 그 유족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Poll 참여자 중 약 60%가 이태원 상인들에 대한 정부 지원에 동의했듯이 말입니다. 또, 이태원 참사에 대한 지리멸렬한 슬로건으로 유족들과 상인들을 괴롭히는 2차 가해자들은 정부 차원에서 엄단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참사를 정치의 영역으로 끌어올려 분열을 초래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경계해야할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