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티몬과 위메프, 고물가 부담 경감 위한 신선식품 특가 판매 진행

입력 : 2024.03.12 12:50 수정 : 2024.03.12 12:49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티몬은 농협과 상생프로젝트를 펼치고 삼겹살,오렌지, 홍게 등 다채로운 신선식품을 초저가 판매하며, 위메프는 과일물가를 낮추기 위해 특별 기획전을 개최하고 고객들의 장바구니 부담 경감에 나선다고 12일 밝혔습니다.

 

티몬과 위메프 관계자는 "신선식품 물가가 급등하며 온라인에서 저렴하게 구매하려는 고객이 늘어남에 따라 티몬과 위메프가 특별한 행사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장보기 물가 경감을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모션을 펼칠 예정이니 많은 기대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티몬에 따르면 최근 한 주간(3월1일~3월 7일) 신선식품 거래액 추이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안심 등 소고기 314% ▲닭ㆍ오리고기 228% 등 축산물 거래액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또 ▲새우ㆍ게ㆍ갑각류 94% ▲참치ㆍ연어ㆍ회 735% 등 수산물은 물론 ▲쌀ㆍ잡곡 553% ▲버섯ㆍ나물ㆍ건채소 331% ▲상추ㆍ깻잎ㆍ쌈채소ㆍ샐러드 91% 등 농산물도 높은 수요를 보였습니다.

 

같은 기간 위메프도 ▲과일 전체 카테고리가 168% 증가했으며,국산 과일중에서는 ▲참외 683% ▲사과 25% 수입 과일 중에서는 ▲망고 600% ▲오렌지 175% 등으로 각각 늘어났습니다.

 

티몬과 위메프는 계속 오름세를 보이는 신선식품 가격 부담에 가격 경쟁력이 높은 온라인 채널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늘어난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에 티몬은 오는 31일까지 '티몬XNH 농협카드 상생 페스티벌' 기획전을 개최하고 총 100여종의신선 식품을 초특가 판매합니다. 즉시 할인 최대 40%에 쿠폰 중복 혜택을 지원하며, NH농협카드로 결제 시, 10% 추가 할인을 제공해 고객의 알뜰 쇼핑을 돕습니다.

 

아울러 농ㆍ축ㆍ수산물과 더불어 못난이ㆍ알뜰식품, 농협브랜드 식품까지 초특가로 판매됩니다.

 

냉장 삼겹살 구이용 500g(2팩)을 최종 혜택가 기준 1만6587원으로 특가 판매합니다. 이는 농수산물유통정보의 지난 10일 삼겹살 평균 소매가격(100g 당 평균 2258원)과 비교 시 약 26% 저렴한 가격입니다.

 

이외에도 ▲23년 당진시농협 서해대통 맛이슈 당진쌀 10kg ▲티프레쉬 블랙라벨 오렌지(중소과 15과) ▲국내산 알뜰형 생표고버섯 2kg ▲대저토마토 2.5kg(랜덤과) ▲구룡포 일반 홍게 3kg(8-10미, 다리 80%+몸통 60%) 등을 역대급 할인가로 제공합니다.

 

위메프는 최근 급증한 과일물가를 낮추기 위해 '물가안정 프로젝트' 특별전을 진행하고 인기 과일을 초저가로 선보입니다. 

 

위메프는 즉시 할인에 상품별 최대 20% 농할쿠폰을 제공해 고객 부담을 덜어줄 예정이며, 오는 13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되는 1차 행사를 시작으로, 21일부터 24일까지 2차 행사까지 펼칠 계획입니다. 

 

주요 상품으로는 ▲의성 설향 딸기 1kg 내외(가정용/혼합)를 압도적인 가격인 8천원대로 선보입니다. 아울러 ▲제주 천혜향 2.5kg(소과/16-20과) ▲팬시 레몬 20과(중소과/100g 내외) ▲Dole 스위티오 파인애플 3kg(1.5kg*2과) ▲태국 골드망고 5kg(14-16과) 등을 단독 특가 판매합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도 농산물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입니다.

 

송미형 농식품부 장관은 12일 서울시 가락시장을 방문하여 사과ㆍ배 등 주요 과일의 도매시장 반입 현황과 도매가격을 점검하고, 도매시장법인ㆍ중도매인 등 도매시장 유통주체와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농식품부는 대체과일의 본격 출하 전인 4월까지 과일ㆍ채소를 중심으로 ▲생산자 납품단가 204억원 지원 ▲230억원 규모의 할인지원을 통해 소비자 체감물가를 낮출 계획이며, ▲과일류 할당관세 적용을 확대(6품목->8품목)하고 ▲오렌지ㆍ바나나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직수입을 통해 가격 인하를 유도합니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올해 1월부터 농촌진흥청ㆍ지자체ㆍ생산자단체와 ▲'과수 생육관리협의체' 운영을 통해 기상과 생육상황 등에 따른 사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냉해예방약제 38억원 지원 ▲과원 874ha에 재해예방시설 설치 지원 ▲과수화상병궤양 제거 완료(3월 7일 기준)하고 집중관리 과원에 대한 예찰을 강화하는 등 산지 농작물 생육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

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

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

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

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

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