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티몬은 농협과 상생프로젝트를 펼치고 삼겹살,오렌지, 홍게 등 다채로운 신선식품을 초저가 판매하며, 위메프는 과일물가를 낮추기 위해 특별 기획전을 개최하고 고객들의 장바구니 부담 경감에 나선다고 12일 밝혔습니다.
티몬과 위메프 관계자는 "신선식품 물가가 급등하며 온라인에서 저렴하게 구매하려는 고객이 늘어남에 따라 티몬과 위메프가 특별한 행사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장보기 물가 경감을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모션을 펼칠 예정이니 많은 기대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티몬에 따르면 최근 한 주간(3월1일~3월 7일) 신선식품 거래액 추이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안심 등 소고기 314% ▲닭ㆍ오리고기 228% 등 축산물 거래액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또 ▲새우ㆍ게ㆍ갑각류 94% ▲참치ㆍ연어ㆍ회 735% 등 수산물은 물론 ▲쌀ㆍ잡곡 553% ▲버섯ㆍ나물ㆍ건채소 331% ▲상추ㆍ깻잎ㆍ쌈채소ㆍ샐러드 91% 등 농산물도 높은 수요를 보였습니다.
같은 기간 위메프도 ▲과일 전체 카테고리가 168% 증가했으며,국산 과일중에서는 ▲참외 683% ▲사과 25% 수입 과일 중에서는 ▲망고 600% ▲오렌지 175% 등으로 각각 늘어났습니다.
티몬과 위메프는 계속 오름세를 보이는 신선식품 가격 부담에 가격 경쟁력이 높은 온라인 채널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늘어난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에 티몬은 오는 31일까지 '티몬XNH 농협카드 상생 페스티벌' 기획전을 개최하고 총 100여종의신선 식품을 초특가 판매합니다. 즉시 할인 최대 40%에 쿠폰 중복 혜택을 지원하며, NH농협카드로 결제 시, 10% 추가 할인을 제공해 고객의 알뜰 쇼핑을 돕습니다.
아울러 농ㆍ축ㆍ수산물과 더불어 못난이ㆍ알뜰식품, 농협브랜드 식품까지 초특가로 판매됩니다.
냉장 삼겹살 구이용 500g(2팩)을 최종 혜택가 기준 1만6587원으로 특가 판매합니다. 이는 농수산물유통정보의 지난 10일 삼겹살 평균 소매가격(100g 당 평균 2258원)과 비교 시 약 26% 저렴한 가격입니다.
이외에도 ▲23년 당진시농협 서해대통 맛이슈 당진쌀 10kg ▲티프레쉬 블랙라벨 오렌지(중소과 15과) ▲국내산 알뜰형 생표고버섯 2kg ▲대저토마토 2.5kg(랜덤과) ▲구룡포 일반 홍게 3kg(8-10미, 다리 80%+몸통 60%) 등을 역대급 할인가로 제공합니다.
위메프는 최근 급증한 과일물가를 낮추기 위해 '물가안정 프로젝트' 특별전을 진행하고 인기 과일을 초저가로 선보입니다.
위메프는 즉시 할인에 상품별 최대 20% 농할쿠폰을 제공해 고객 부담을 덜어줄 예정이며, 오는 13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되는 1차 행사를 시작으로, 21일부터 24일까지 2차 행사까지 펼칠 계획입니다.
주요 상품으로는 ▲의성 설향 딸기 1kg 내외(가정용/혼합)를 압도적인 가격인 8천원대로 선보입니다. 아울러 ▲제주 천혜향 2.5kg(소과/16-20과) ▲팬시 레몬 20과(중소과/100g 내외) ▲Dole 스위티오 파인애플 3kg(1.5kg*2과) ▲태국 골드망고 5kg(14-16과) 등을 단독 특가 판매합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도 농산물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입니다.
송미형 농식품부 장관은 12일 서울시 가락시장을 방문하여 사과ㆍ배 등 주요 과일의 도매시장 반입 현황과 도매가격을 점검하고, 도매시장법인ㆍ중도매인 등 도매시장 유통주체와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농식품부는 대체과일의 본격 출하 전인 4월까지 과일ㆍ채소를 중심으로 ▲생산자 납품단가 204억원 지원 ▲230억원 규모의 할인지원을 통해 소비자 체감물가를 낮출 계획이며, ▲과일류 할당관세 적용을 확대(6품목->8품목)하고 ▲오렌지ㆍ바나나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직수입을 통해 가격 인하를 유도합니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올해 1월부터 농촌진흥청ㆍ지자체ㆍ생산자단체와 ▲'과수 생육관리협의체' 운영을 통해 기상과 생육상황 등에 따른 사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냉해예방약제 38억원 지원 ▲과원 874ha에 재해예방시설 설치 지원 ▲과수화상병궤양 제거 완료(3월 7일 기준)하고 집중관리 과원에 대한 예찰을 강화하는 등 산지 농작물 생육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