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경기 부천시 심곡동 한 아파트에서 전기장판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아파트 주민 30여명이 대피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부천소방서에 따르면 22일 오전 6시
15분경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아파트 3층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화재를 신고한 이웃 주민은 “옥외에서 쓰레기를 버린 후, 귀가 중 복도에서 고무타는 냄새와 함께 연기가 차오르고 있어 119에
신고했다”고 밝혔습니다.
신고를 받은 소방당국은 소방관과 경찰관 42명과 펌프차 등 차량 14대를 투입해 22분만에 불을 껐습니다. 다행히 이번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번 화재는 3층에 거주하는 주민이 전기장판을 켜둔 채되 외출하면서
라텍스 소재 매트리스에 열이 축열돼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소방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전열기구 사용 부주의로 인한 화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겨울철 전열기구 안전사용 요령’을 발표했습니다.
공사에 따르면 최근 3개년 전열기구(전기장판∙방석 등) 화재 건수는 2021년 179건, 2022년 242건, 2023년
257건으로 지속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공사는 “전기장판,
전기방석 등 화재 위험성이 높은 전열기구에 대한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우선 전열기구 구입 전 반드시 안전인증(KC마크)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전기제품 사용 시 손상된 부분과 전선의 파손 등을 점검해야 합니다. 전기제품
사용 전 온도조절기, 스위치 등 파손 여부를 확인하고, 수리
또는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다음으로 전기장판 사용 시 라텍스 재질의 침구류와 함께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라텍스 소재 침구류는 열을 축적하는 특성이 있어 장시간 사용시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열기구 보관 시 무거운 물건 적치를 금지하고, 습기가
없는 장소에 꺾이지 않은 상태로 보관해야 합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