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치아 교정에 평균 490만원 쓰는데, 피해 신고 중 부작용 호소 비율 가장 높아

입력 : 2023.12.18 16:58 수정 : 2023.12.18 17:06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5년간 접수된 치아교정 관련 피해구제 신청 가운데 교합 이상, 치아 흔들림 등의 부작용을 호소하는 비율이 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11월까지 약 5년간 소비자원에 접수된 77건의 치아교정 관련 피해구제 신청 사례를 분석한 결과, 부작용이 40.3%(3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소비자가 치료를 중단 후 잔여대금 환급을 요구를 거부하거나 환급금을 적게 제시하는 등 계약 관련 피해가 37.7%(29), 효과 미흡 13.0%(10), 잘못된 치료 방법이 6.5%(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작용을 호소한 31건을 자세히 살펴보면 교정치료를 받았지만 오히려 교합이 맞지 않는다치아가 흔린다는 내용이 각각 25.8%(8)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잇몸질환 22.6%(7), 턱관절 통증 및 잡음 등 턱관절 관련 증상이 12.9%(4)이 뒤를 이었습니다.

 

계약 관련 피해의 경우, 44.8%(13)1개월 이내에 계약을 해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약 해지 사유로는 6개월 이내에는 단순변심, 서비스 불만족이 주된 사유였지만,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초기 계획과 달리 치료 내용이 변경되거나 또는 추가 비용을 요구한 것이 해지 사유로 꼽혔습니다.

 

치료비용은 최저 70만원부터 최고 1400만원으로 다양했으며, 평균 치료 비용은 490여만원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소비자원은 환자의 치아 상태치료 방법∙교정 기간∙예상 결과∙교정 치료비∙치료 중단 시 환불 규정 등을 소비자에게 상세히 설명할 것을 의료기관에 권고했습니다.

 

그러면서 소비자들에게는 피해 예방을 위해 이벤트나 할인 등 과장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치료 필요성을 다시 확인할 것과 교정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 등을 요구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