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54만 고립∙은둔 청년을 지켜라, 정부 지원 본격화

입력 : 2023.12.13 17:05 수정 : 2023.12.13 17:07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고립∙은둔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전담기관을 운영해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1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52022청년의 삶 실태조사및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 고립은둔을 생각하는 위기 청년 규모가 최대 약 54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립은 사회적 관계가 현저히 적은 경우를, ‘은둔은 사회적 관계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외출 빈도가 극히 적은 사례를 뜻합니다.

 

통계청 조사에서는 일이나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쉬었다고 응답한 청년이 2016249000, 202236, 2023 7월 기준 402000명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우울∙낙심할 때 대화할 사람이 없다고 생각한 청년 역시 2019218000명에서 2023316000원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고립∙은둔을 시작하는 시기는 60.5%20대로 집계됐으며, 1023.8%, 3015.7%였습니다.

 

고립∙은둔 이유로는 취업 등 직업 관련 어려움이 24.1%로 가장 많았으며, 대인관계의 어려움 23.5%, 가족관계∙건강 12.4% 순이었습니다.

 

청년재단에 따르면 청년 고립은둔을 지속적으로 방치할 경우 사회적 비용 손실이 연간 약 7조원에 이릅니다.

 

이에 복지부는 지난 7~8월 전국 청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심층 실태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바탕으로 4개 주요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고립은둔 청년 대상 중앙정부 차원의 상시 발굴 체계를 구축합니다.

 

복지부 소관 공공 홈페이지에서 자가진단시스템을 마련해 누구나 24시간 고립은둔 위기 정보를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으며, 고립∙은둔 당사자가 언제든 비대면∙온라인 방식으로 외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원스톱 도움 창구도 마련할 예정입니다.

 

또 복지부는 청년인턴과 자원봉사단을 모집해 온라인 커뮤니티 대상으로 고립∙은둔 청년을 발굴하고 온라인 자가진단 등 홍보 활동을 진행합니다.

 

지자체와 경찰, 소방, 지역 주민 등 기존 복지 사각지대 발굴 협력망 협조 체계도 강화하고, 고립∙은둔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자립준비청년에 대해서도 자립준비 전담기관 내 탈고립∙은둔 전담 인력을 배치합니다.

 

이렇게 발굴된 고립∙은둔 청년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에 4개 지역에 청년미래센터(가칭)를 설치하고 전담 사례관리사가 현장 방문 및 초기 상담, 일상회복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정부는 2년간 시범사업을 통해 선도 모델을 개발하고 향후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고립∙은둔청년 발생을 줄이기 위한 다각적인 대책도 마련됩니다.

 

학교 폭력이나 부적응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돕는 학생맞춤통합지원 선도학교는 올해 96곳에서 내년 248곳으로 늘리고,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도 내년부터 고립∙은둔 전담인력을 36명 배치합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