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주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 전집에 이어 최근 용산구의 한 횟집이 ‘바가지 요금’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앞서 지난 16일 유명 여행 유튜버가 베트남 지인 2명과 함께 한국 전통 음식을 맛보기 위해 종로광장을 찾았다가 부실한 양의 모둠전을 한 접시에 1만5천원에 사 먹는 모습이 공개되면서 비판이 일었습니다.
이런 와중에 지난 1일 신용산의 한 횟집을 찾았다는 A씨는 다음 날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 자신이 횟집에서 겪은 사연을 공개했습니다.
A씨는 ‘회 10만원 이게 맞나요? 따지는 손님한테 욕설까지’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광어회와 방어회가 섞인 접시 사진을 찍어 올리면서 “이게 10만 원이 맞느냐. 반찬은 김이랑 백김치, 쌈장이 전부였다”라고 의견을 물었습니다.
A씨는 이어 “처음에 주문하고 ‘이거 10만원짜리 맞아요?’라고 물었지만 ‘맞다’고 대답하길래 그냥 먹고 있었다”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옆 테이블 손님도 같은 메뉴를 시켰고, 글쓴이와 마찬가지로 적은 양의 회가 나오자 “지금 나온 것이 10만원 맞냐”, “이거 가격이 너무한 것 아니냐”며 따졌습니다.
이에 사장은 “저기 테이블도 그냥 먹는다”며 “젊은 새X가 싸가지 없이, 나가 그냥. 환불해 줄 테니 나가라고”하며 욕설을 했습니다.
A씨는 “회 양을 보고 충격을 받았지만 사장이 저렇게 응대하는 것을 본 일이 처음이라서 더 충격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최근 ‘바가지요금’ 논란이 확산되면서 서울시가 내년 상반기부터 광장시장에 정량표기제를 도입해 내용물을 줄이거나 부실한 구성으로 판매하는 사례를 예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량 표시제는 중량 표시와 사진 등을 소비자에게 사전 제공해 이해를 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특히 빈대떡 등 광장시장을 대표하는 먹거리에 대해서는 식당 앞에 모형을 배치하는 방안도 계획 중입니다.
아울러 상인회는 ‘사전가격협의체’를 통해 사전에 충분히 논의한 뒤 음식 가격 인상 시기, 금액 등을 결정할 방침입니다. 기존에는 원재료 가격 인상 등 가격 조정이 필요한 경우 노점상 간 합의로 가격을 결정해왔습니다.
광장시장은 서울시 보조금을 활용해 ‘미스터리 쇼퍼’를 고용한 뒤, 각 점포 별로 정량 표시제 등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할 계획입니다.
쇼퍼들은 바가지요금, 강매, 불친절 사례들을 상인회에 전달하며, 상인회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영업정지 등 강력한 점포 제재조치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