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설명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정부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안전성을 알리기 위해 제작한 유튜브 홍보 영상이 1600만 조회수를 기록한 것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달 7일 정부 정책 홍보 유튜브 채널인 ‘대한민국 정부’에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말하는 후쿠시마 오염수의 진실’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습니다.
해당 영상은 원자력공학과 교수, 한국해양과학기술원장, 한국원자력학회장 등 국내 전문가들이 출연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의 안전성에 대해 설명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특히 이 영상은 24일 오후 4시
기준 조회수가 1642만회 기록하며, 비슷한 시기에 업로드된
오염수 관련 홍보 영상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조회수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3일 “거의 (가수) 임영웅의
뮤직비디오 정도 나왔더라. 임영웅 뮤직비디오가 1년 걸려서
1600만 회 간 게 있다”며 “(오염수) 홍보 영상을 대통령실에서 만들고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용했다는
10억 원의 홍보비라는 게 진짜 조회수 올리기에 쓰인 게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해당 논란에 대해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도 비판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진 교수는 지난 23일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이게 가짜뉴스다. 자기들이 BTS입니까? 블랙핑크입니까? 어떻게 1600만(이 나올 수 있냐) 속이려도 해도 적당히 (해야지)”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어 “(저런 썸네일을)
누가 클릭하냐”며 “요새
유튜버들도 그렇게 안 찍는다. 그런데 그걸 3800만원을
줬다는 것이 말이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한겨레는 해당 영상의 영상 제작비로 대통령실 예산 3800만원이
집행됐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당초 이 영상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수산물 안전 관리’정부 정책 홍보 차원에서 1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론 대통령실 주도로 영상이 제작됐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은 “국민 안전을 위한 홍보에 정부
및 대통령실 예산을 집행하는 것은 예산 운영의 취지에 부합한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4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5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6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7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