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달 국가자격시험에 응시한 600여명의 답안지가 채점도 되기 전에 파쇄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3일 고용노동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서울 은평구에 있는 연수중학교에서 시행된 ‘2023년
정기 기사∙산업기사 제1회 실기시험’의
필답형 답안지가 파쇄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서울 지역 시험장 중 한 곳인 연수중에서는 건설기계설비기사 등 61개
종목의 수험자 609명이 시험을 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답안지는 시험 종료 후 공단 서울서부지사로 운반됐습니다. 하지만 이후
인수인계 과정에서 착오가 발생해 답안지가 담겨 있던 포대가 공단 채점센터로 옮겨지지 않고 파쇄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에 공단은 609명 응시자 전원에게 개별 연락을 통해 사과 및 후속
대책을 설명할 예정입니다.
우선 공단은 피해를 본 수험자들에게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6월
1일부터 4일까지 나흘간 추가시험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시험 결과는 당초 예정된 합격자 발표일과 같은 6월 9일에 발표할 계획입니다.
만약 해당 기간 내 시험을 볼 수 없는 수험자들의 경우엔 6월 24~25일 시험을 치를 수 있습니다. 이 기간 시험을 볼 경우, 결과 발표는 같은 달 27일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응시를 희망하지 않은 수험자에게는 수수료를 전액 환불해주기로 했습니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어수봉 공단 이사장은 “국가자격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담보해야 할 공공기관으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 발생한 점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공단은 책임자를 문책하는 등 엄중히 조치하고,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국가기술자격 시행 프로세스 전반에 대해 재점검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공단의 대처에도 불구하고 비판 여론을 잠재우기엔 역부족인 것으로 보입니다.
온라인 상에서는 공단의 대응과 관련해 “국가공인검정시험에서
이런 일이, 만약 수능에서 이랬으면 관계자 다 옷 벗어야 되는 일이다”, “누군가는 인생을 걸었을지도 모르는 중요한 시험에 이런 시대 착오적인 실수가 있다는 게 말이 안된다” 등 날선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일각에서는 “(수험생들은)
시험일 맞춰 준비한 사람들일텐데 재시험이 갑자기 잡히면 다시 공부할 시간은 있을지 그리고 시험 준비가 될 지 모르겠다. 단순히 수수료 환불과 사과로 넘어갈 일은 아닌 거 같다”, “돈 준다고 그전에 있었던 일들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등
공단이 내놓은 대책에 성의가 없다는 반응도 나왔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잘모르겠어요
5태릉~ 참 좋은 곳이죠 ㅎㅎ 시간되면 아이들이랑 같이 가봐야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6정말 교통편이 힘들긴 하더라구요 ㅠㅠ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7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