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 23일 통계청이 대한민국 사회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2022 한국의 사회지표’를 발간했습니다.
이 지표는 국민 삶과 관련한 경제∙사회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1979년부터 작성돼왔습니다.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는 5163만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20년 5184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년째 감소 추세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합계출산율도
전년보다 0.03명 감소한 0.78명으로 1970년 통계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습니다.
우리나라 평균 가구원 수(2021년 기준)는 2.3명으로 나타났으며, 2인
이하 가구 비중은 매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가구원 수별 비율은 1인 가구가 33.4%로 가장 높았으며, 2인(28.3%), 3인(19.4%),
4인(14.7%), 5인(3.3%), 6인 이상(0.8%)가 뒤를 이었습니다.
작년 국민 중 결혼을 해야 한다고 비중은 50.0%로 2년 전보다 1.2%p 감소했습니다. 성별로 봤을 때 남자(55.8%)가
여자(44.3%)보다 높았습니다.
2021년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3.6년으로 전년보다 0.1년 증가했습니다. 2020년 기준 OECD 주요국의 기대수명으로 보면 일본(84.7년)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국민 사망원인 1위는 악성신생물(암)로, 인구 10만 명당
161.1명이 사망했습니다. 이어 심장질환(61.5명), 폐렴(44.4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자는 악성신생물(암), 폐렴, 고의적 자해(자살), 당뇨병,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여자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사망이 상대적으로 많았습니다.
지난해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13.7명), 중학교(11.7명), 유치원(10.3명), 고등학교(9.6명) 순으로 많았고, 모든
학교급에서 전년보다 감소했습니다.
초∙중∙고 사교육 참여율은 78.3%로 전년보다 2.8%p 증가했으며,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1만원으로 전년보다 11.8%p 증가했습니다. 학교생활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중∙고등학교 재학생의 비중은 51.1%로
2년 전보다 8.2%p 감소했습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1%로 전년보다 1.6%p 올라 1963년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실업률은
2.9%로 0.8%p 하락했습니다.
국민의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7시간, 휴일 5.5.시간으로 전년보다 각각 0.1시간, 0.3시간 감소했습니다. 여가시간을 주로 혼자 보는 사람의 비중은
51.8%로 전년보다 11.8%p 감소했습니다. 가족 또는 친구와 함께 보낸 사람의 비율은 전년보다 각각 4.7%p,
5.9%p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은 2150조원으로 전년보다 3.8% 증가했으며,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2661달러로
전년보다 7.7%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평균 가구소득은 6414만원으로 전년보다 289만원 증가했고, 지난해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64만원으로 전년보다 14.5만원 늘었습니다.
인구
천 명당 주택 수(2021년 기준)는 423.6호로 전년 대비 5.4호 증가했습니다. 인구 천 명당 주택 수가 가장 많은 곳은 경북(499.2호), 전남(488.5호), 경기(487.6호)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주택보급률은 102.2%로 1.4% 감소했습니다. 주택보급률이 100% 미만인 지역은 서울(94.2%), 대전(97.0%), 인천(97.5%), 경기(98.6%)이며,
대구(100.7%)의 주택보급률은 전국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대기 중 미세먼지(PM-10) 연평균 농도는 36㎍/㎥로 전년보다 3㎍/㎥
증가했으나,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는 18㎍/㎥로 전년보다 1㎍/㎥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대기질에 대한 만족도는 42.3%로 2년 전보다 4.1% 증가했습니다. 대기질 만족도는 2012년 이후 계속 감소하다가 20년부터 증가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단,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을 포함한 울산, 대구, 광주는 전국 평균보다 낮았고, 인천의 경우 전국보다 15.6%p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21년 인구 10만
명당 범죄 발생 건수는 2960건으로 전년보다 10.5% 감소했으며, 10년 전과 비교하여 22.3%p(850건) 감소했습니다. 형법범죄 중 절도,
폭행∙상해, 살인, 강도의 발생 건수는 전년보다 감소했으나, 성폭력 발생 건수는 전년보다 증가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 지역의 범죄율이 인구 10만 명당 3936건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부산(3413건), 전남(3377건)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우리 국민 10명 중 2명은 외로움을 느낀다고 응답했습니다. 특히 남성보다 여성이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사회적 고립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해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은 전년보다 3.0%p 증가한
75.4%였습니다.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은 72.6%로 전년보다 0.6%p 감소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