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미국에서 고속도로를 달리던 기아 소울 차량이 옆 차량에서 빠져나온 타이어를 밟고 3m 공중으로 솟구치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운전자는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지난 27일(현지시각) 미국 폭스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사고는 23일 로스앤젤레스(LA) 교외 지역인 채스워스 고속도로에서 발생했습니다.
충격적인 사고의 순간을 뒤따라 달리던 테슬라 차량 카메라가 포착했고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와 언론을 통해 소개됐습니다.
해당 영상에선 기아 소울 차량과 쉐보레 픽업트럭이 도로를 나란히 달리던 중 쉐보레의 왼쪽 앞바퀴가 분리됐고, 타이어와 부딪힌 소울은 그대로 공중으로 솟아오르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약 3m 이상 떠오른 소울은 공중에서 반 바퀴를 회전한 후 앞쪽 보닛으로
바닥에 추락했습니다.
자칫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아찔한 상황이었지만, 다행히 운전자는 경미한
부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순찰대 대변인은 “기아차에는 운전자 1명만 탑승한 상태였고 그는 가벼운 부상만 입었다”며 “쉐보레 차량의 휠 너트가 파손되면서 타이어가 이탈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을 본 해외 누리꾼들은 “기아차 구매를 고민하고 있었는데, (사고 영상을 보고) 구매하겠다는 마음을 굳혔다”, “(이 영상은)기아차가 얼마나 안전하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증거”라는 등 기아차의 안전성에 대한 칭찬이 쏟아졌습니다.
미국에서 국산차의 안전성을 인정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앞서 지난해에는 현대차의 준중형차 엘란트라N을 타고 있던 커플이 91m 협곡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해당 사고로 차량은 완파됐지만, 운전자와 동승자는 경미한 부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같은 해 2월에는 골프황제 타이거 우즈가 제네시스 GV80을 타고 전복 사고를 당했지만, 다리 골절상 외 큰 부상은 없었습니다. 타이거 우즈는 2개월의 재활 치료를 받고 4월 마스터스로 투어에 복귀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