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버스랩, 국내 유일 ESG 청년 플랫폼 ESG Youth Forum과 MOU 체결
▷ESG 콘텐츠 제작과 청년 ESG 리더 양성 등
▷양사, ”미래세대가 함께하는 스타트업의 ESG 이행 선도할 것”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13일, 블록체인 퀴즈플랫폼 퀴즈톡을 운영하고 있는 ‘큐버스랩’이 국내 유일 ESG 청년 플랫폼인 ‘ESG Youth Forum’(ESG 청소년 포럼, 이하 EYF)과 ‘블록체인을 활용한 ESG 이행’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ESG 콘텐츠를
제작하고, 청년 ESG 리더 양성하는 등 큐버스랩의 ESG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EYF는 ESG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퀴즈톡의 ESG 내재화를 위한 자문을 맡기로 합의했습니다.
향후 큐버스랩은 ESG 교육 콘텐츠 배포와 메타버스 ESG 포럼 참여 및 후원 등을 통해 ESG 플랫폼을 구축해 나갈 방침입니다.
이날
참석자들은 “이번 MOU를 시작으로 큐버스랩과 EYF의 상호협력을 강화하고, 미래세대가 함께하는 스타트업의 ESG 이행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 뜻을 모았습니다.
전창섭
큐버스랩 대표는 “퀴즈톡이 ESG에 관한 양질의 콘텐츠를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하게 돼서 뜻깊다“라면서
소감을 밝혔습니다.
곽제헌 EYF 조직위원장은 “ESG를 엔터테인먼트화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입문 및 사내교육 콘텐츠를 제작해, ESG의 가치를 국내시장에 확산시키는데 큐버스랩과 함께하게
되어 기쁘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큐버스랩의 퀴즈톡은 13만 건 이상의 퀴즈 풀이 서비스와 퀴즈를
활용한 무료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퀴즈를 푼 사용자에겐 보상으로 ‘퀴즈톡 토큰’이 제공되고, 이를
활용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현금화하거나 플랫폼 내 직접광고를 송출할 수 있습니다.
13일
기준 퀴즈톡의 누적 퀴즈 풀이 수는 약 13억 3000만
건이며, 누적 퀴즈수 약 180건, 누적 앱 다운로드 수 72만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큐버스랩과
협약을 맺은 EYF는 국내 유일 ESG 청년 플랫폼으로서
청년 ESG 교육의 필요성을 널리 알리고, 미래세대가 ESG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매년 ESG Youth Forum과 함께 다양한
ESG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