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업회생협회-한국유권자중앙회, RE-Challenge 프로젝트 위한 전략적 MOU 체결
▷28일 국회의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지방자치 의정 수여식에서 체결
경제 > 경제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5.10.30

전국장애인부모연대-모두의예체능,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체육 활동 참여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장애인 스포츠 바우처 기획·운영 등 협약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5.10.28

[증시다트]삼성중공업, 3분기 영업익 2,381억…고부가 선종 수익 본격화
▷수익성 높은 LNG·컨테이너선 매출 본격 반영…OPM 9.0% ▷FLNG 매출 확대·저가선 인도 완료…4분기 수익성 개선 지속 전망 ▷美 진출 시동, 중장기 수주 파이프라인 확보로 구조적 턴어라운드 자신감
기획·연재 > 증시다트 | 류으뜸 기자 | 2025.10.24

조달청, 서빙·배송 로봇 임대서비스 공급 위한 입찰공고 게시
▷조달청, 서빙 및 배송용 로봇 임대서비스 입찰공고 게시 ▷”우리나라 서비스 로봇 산업 성장의 디딤돌 되길 희망”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5.07.07

‘얼굴 인식으로 호텔 체크인도 가능?’...한컴위드, AI 기술로 스마트패스 시장 공략한다
▷ 티오더스테이와 ‘스마트패스 기반 호텔 서비스’ 공동 개발 체결 ▷ 호텔 플랫폼 ‘아이스테이(i’stay)’에서 비대면 체크인 서비스 제공
산업 > 기업 | 이수아 기자 | 2025.06.30

유디엠, 제로베이스와 마케팅 인재 발굴 및 채용 위한 MOU 체결
▷유디엠-제로베이스, 실무 역량 갖춘 마케팅 인재 발굴 및 채용 위한 업무협약 체결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기획력과 실행력 겸비한 인재가 마케팅 성과의 핵심"
산업 > 중기/벤처 | 이정원 기자 | 2025.06.17

휴온스엔-춘천시, 건기식 설비 증설 업무협약 체결
▷휴온스엔, 춘천시와 건기식 설비 증설 협약 체결 ▷지역 사회와의 상생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나서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6.10

코람코자산운용-LG유플러스, 데이터센터 사업 전반 협력 위한 MOU 체결
▷케이스퀘어 데이터센터 가산 운영 이어 사업 전반 협력 확대 ▷GRESB 최고 등급 획득한 친환경 데이터센터, 양사 시너지 기대
경제 > 금융 | 김영진 기자 | 2025.06.10

웅진컴퍼스, 사우디 WBCO와 전략적 협약…중동 영어교육 시장 본격 진출
▷35년 업력의 현지 교육기업과 손잡고 디지털 콘텐츠 유통망 확보 ▷ELT 교재·AI 솔루션 등 맞춤형 전략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
교육 > 교육산업 | 김영진 기자 | 2025.05.30

DB생명, 아너스금융서비스와 '금융소비자보호 강화' 맞손
▷내부통제·자율점검 강화 등 약속 ▷12개사 GA와 업무협약 체결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5.26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