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 올해 세계성장률 대폭 하향…우리나라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1.7% 전망…절반 하향
▷금리인상∙긴축정책 성장세 제동…러·우크라 전쟁도 악재
▷KDI,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1.6% 전망…수출 감소 때문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세계은행(WB)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을 대폭 하향 조정했습니다. 고물가와 주요국 통화 긴축 기조에 따른 고금리 지속 등이 성장세에 제동을 걸 거란 분석입니다. 한편 우리나라 또한 수출 증가세 둔화와 투자 부진으로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세계은행은 현시간 10일 공개한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가 올해 1.7% 성장에 그칠 것이란 전망을
밝혔습니다. 지난해 6월 세계은행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난해와 비슷한 3%로 제시했는데, 절반 가까이 하향 조정한
겁니다.
세계은행은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질 위험이 매우 클 정도로 세계
성장이 둔화했다”고 경고했습니다. 세계 은행은 높은 물가와
이를 잡으려는 금리인상과 긴축정책,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을 성장률을 전망을
하향한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세계은행은 선진국 경제성장률을 지난해 2.5%에서 올해 0.5%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미국은 기존 전망보다 1.9%p 낮은 0.5%로 하향했습니다. 유로존도 1.9% 하향 조정하면서 성장이 정체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중국을 제외한 신흥∙개도국은 성장률은 지난해
3.8%에서 올해 2.7%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신흥 경제와 개도국의 1인당 소득 증가율은 2.8%로 전망했습니다. 2024년에는 신흥 경제와 개도국의 국내총생산(GDP) 수준이 팬데믹 전보다 약 6%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우리나라 또한 올해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8일에 발표한 ‘경제동향’ 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1.6%로 전망했습니다. 지난해 11월에
발표한 수치보다 0.25%p 하향 조정됐습니다.
KDI 내년 상장률 전망을 낮춘 이유로 대외 수요 부족 따른 큰 폭의
수출 감소를 꼽았습니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수출은 549억9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9.5% 감소했고 수입은 596억8000만달러로 2.4% 줄었습니다. 같은 달 무역수지는 46억9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9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갔습니다.
KDI는 "대내외
금리 인상의 영향이 실물경제에 점진적으로 파급됨에 따라 향후 경기 하방 압력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