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상호 연구원 "한국에서도 밸류업 실현 가능"

▷프로그램 도입 직후 은행주 시가배당률 하락
▷"6개월만에 저평가 국면벗어나 정상가치 회복"
▷비금융 기업 PBR 낮아..."구조적 노력 병행 필요"

입력 : 2025.05.27 18:18
이상호 연구원 "한국에서도 밸류업 실현 가능" 이상호 자본시장 연구원은 27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밸류업 1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 1년,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위즈경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코리아 밸류업(기업가치제고)' 프로그램이 도입된 지 1년이 지난 가운데, 한국 시장 내에서도 밸류업 실현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상호 자본시장 연구원은 27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밸류업 1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 1년,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 후 낮아진 은행주 시가배당률을 근거로 제시했다. 자본시장 연구원에 따르면, 은행주의 시가배당률은 밸류업프로그램 도입 6개월만에  7.7%에서 5.4%로 약 2.3% 낮아졌다. 시간 배당률은 연간 주당 현금배당을 주가로 나눈 값이다. 배당금에 큰 변동이 없다면 이 수치의 하락은 주가 상승을 의미한다. 이는 은행 저평가 국면을 벗어나 정상가치를 회복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그는 "은행주 저평가 완화 사례가 시사하는 바는 명확하다"며 "회사가 기본적으로 탄탄하고 믿을 수 있는 회사 운영구조를 갖춘다면 한국 시장에서도 밸류업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비금융 기업은 여전히 주식시장에서 저평가 받고 있다고 봤다. 그는 "우리나라 비금융 기업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해외 주요국 상장 기업 대비 현저히 낮은 편"이라고 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 본질가치 제고 노력의 병행 필요성에 대해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이다. PBR은 기업의 자산가치에 비해 주식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이 연구원은 향후 밸류업 정책의 방향성에 △장·단기적 방안 △법제적 보완 측면 등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단기적으로 합리적인 주주 환원을 유도할 필요가 있고 중장기적으로 기업 체질 개선을 위한 구조적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며 "자산주의 심각한 저평가 문제에 대해서는 법 제도의 보완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