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P파리바 카디프생명, AI 보이스봇∙챗봇으로 업무 효율성 제고
▷AI 기반 보이스봇, 챗봇 2종 선봬… 업무 효율성 개선 및 소비자경험 향상 목적
▷"금융권 내 AI활용 논의 활발...DT 가속화로 혁신기회 지속적으로 탐색할 것"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BNP파리바 카디프생명은 AI 챗봇∙보이스봇 도입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혔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최근 인공지능(AI)에 대한 고객 및 파트너의 기대를 반영한 조치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전통적인 보험 가치사슬 내 AI 활용은 사내 업무절차 자동화와 임직원의 업무 보조를 통해 효율성을 높인다. 고객상담에 챗봇을 활용해 소비자경험을 개선하고 판매 효율도 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BNP파리바 카디프생명은 직원들의 일상 업무 수행을 지원하는 AI기반 보이스봇 (Voice Bot, 음성로봇)과 FAQ 챗봇(Chat Bot, 대화형로봇)을 연이어 도입하며, 업무 효율성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3월 도입한 보이스봇은 해피콜(완전판매 모니터링)을 주로 수행하며 기존에는 상담원과 모바일로 제공된 서비스다. 이외에도 안내장 반송, 실효예고, 스마트레터, 월대체 안내 등 5가지 고객 서비스를 음성 인식 솔루션으로 제공한다.FAQ 챗봇은 온라인 채널에서 늘어나는 고객 문의에 신속하게 응대하고자 4월에 도입됐다.
BNP파리바 카디프생명 문선아 마케팅&사업개발부 상무는 "최근 금융권 AI 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당사도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가속화할 수 있는 혁신기회를 지속적으로 탐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