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P파리바 카디프생명, AI 보이스봇∙챗봇으로 업무 효율성 제고
▷AI 기반 보이스봇, 챗봇 2종 선봬… 업무 효율성 개선 및 소비자경험 향상 목적
▷"금융권 내 AI활용 논의 활발...DT 가속화로 혁신기회 지속적으로 탐색할 것"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BNP파리바 카디프생명은 AI 챗봇∙보이스봇 도입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혔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최근 인공지능(AI)에 대한 고객 및 파트너의 기대를 반영한 조치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전통적인 보험 가치사슬 내 AI 활용은 사내 업무절차 자동화와 임직원의 업무 보조를 통해 효율성을 높인다. 고객상담에 챗봇을 활용해 소비자경험을 개선하고 판매 효율도 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BNP파리바 카디프생명은 직원들의 일상 업무 수행을 지원하는 AI기반 보이스봇 (Voice Bot, 음성로봇)과 FAQ 챗봇(Chat Bot, 대화형로봇)을 연이어 도입하며, 업무 효율성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3월 도입한 보이스봇은 해피콜(완전판매 모니터링)을 주로 수행하며 기존에는 상담원과 모바일로 제공된 서비스다. 이외에도 안내장 반송, 실효예고, 스마트레터, 월대체 안내 등 5가지 고객 서비스를 음성 인식 솔루션으로 제공한다.FAQ 챗봇은 온라인 채널에서 늘어나는 고객 문의에 신속하게 응대하고자 4월에 도입됐다.
BNP파리바 카디프생명 문선아 마케팅&사업개발부 상무는 "최근 금융권 AI 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당사도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가속화할 수 있는 혁신기회를 지속적으로 탐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3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4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5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6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
7탈시설은 장애인들의 자립을위한 정책 방향일 수 있지만, 그러나 그것이 유일한 정답이며 그 외의 선택은 시대에 뒤떨어진 퇴행으로 몰아붙이는 시선은 오히려 다양성을 배제하는 위험한 사고임을 천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