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스테이블코인 활용 해외송금 기술검증 사업 나서
▷글로벌 프로젝트 ‘팍스프로젝트’ 참여
▷한일 양국 은행 시스템 연동하는 PoC 진행
▷"디지탈 자산 기반 금융 혁신 선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케이뱅크가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해외송금 기술검증(PoC) 사업에 나선다.
국내 스테이블코인 법제화에 앞서 스테이블코인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혁신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케이뱅크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해외송금 PoC 사업인 ‘팍스프로젝트’에 참여한다고 10일 밝혔다.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나 실물자산에 가치를 연동해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한 디지털 자산이다. 테터(USDT)와 USD코인(USDC)이 대표적인 예다. 이들은 미국 달러와 1대 1로 가치가 고정됐다. 이를 활용한 해외송금은 기존방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특히 비싼 수수료와 긴 처리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것으로 보인다.
‘팍스프로젝트’는 스테이블코인이 법제화된 일본에서 추진 중인 국제협력 사업이다. 디지털 자산을 활용해 차세대 글로벌 송금 및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각국의 주요 은행이 협력해 해외송금, 환전, 역외 지급결제 등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실용성을 검증한다. 스테이블코인이 얼마나 빠르고 효율적으로 기존의 복잡한 국가 간 송금 절차를 혁신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표다.
케이뱅크가 ‘팍스프로젝트’에서 참여하는 영역은 ‘한일 은행 시스템을 연동하는 해외송금 PoC’이다. 두 국가의 해외 무역 송금이 금융 환경에서 원할하게 운영되는지 검토한다.
케이뱅크를 비롯한 국내 은행들과 한국디지털자산수탁(KDAC), 페어스퀘어랩 등이 참여해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약 세 달간 진행된다.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및 해외송금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스테이블코인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케이뱅크는 이번 참여를 시작으로 향후 디지털 자산 생태계 선도를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이번 사업참여로 스테이블코인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향후 법제화될 경우 스테이블코인의 활용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