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글로벌 AI 경쟁에서 뒤쳐져…AI 기반 콘텐츠 제작 역량 힘써야”
▶12일 국회 의원회관 'AI로 제작된 콘텐츠는 누구의 것인가' 세미나 개최
▶백순욱, “IT 비전공자의 공학적 이해 높이고 양질 콘텐츠 만들어야 할 때”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글로벌 AI 시장에서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단순히 AI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보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백순욱 동국대학교 SW교육원
강사는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AI로 제작된 콘텐츠는
누구의 것인가’ 세미나에서 “한국이 AI 플랫폼의 경쟁에 뛰어드는 것은 이미 늦었다고 본다”라며
“지금은 우리가 가진 강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강화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백 강사는 “요즘 특강이나 세미나 등에 초청 받아서 참석하면
대부분 AI 발전에 대한 이야기만 하고 있는 거 같다”라며
“다만, 기술이 있어도 어디에 사용할지에 대한
목적이 없으면 콘텐츠는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백 강사는 IT 비전공자의 생성형 AI에 대한 공학적 이해를 높이고 이를 통해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백 강사는 “예를 들어
AI로 생성한 배우의 연기력을 평가할 때 공학자들이 배우의 연기를 공부해서 평가하는 것이 아닌 연기자들이 AI라는 도구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평가와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용이할 것”이라며
“이에 IT비전공자들이 공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을 전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야 된다”고 밝혔다.
계속해서 “현재 콘텐츠를 만드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미드저니, 소라 등과 같이 플랫폼의 기술력을 높이는데 돈과 시간을 쏟아붓는 것이 아닌 다양한 방면에 생성형 AI를 활용해 목적성을 높이는 것에 있다”이라며 “생성형 AI는 사용하는 사람의 소양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포텐셜(잠재성)을 중요하게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