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글로벌 AI 경쟁에서 뒤쳐져…AI 기반 콘텐츠 제작 역량 힘써야”
▶12일 국회 의원회관 'AI로 제작된 콘텐츠는 누구의 것인가' 세미나 개최
▶백순욱, “IT 비전공자의 공학적 이해 높이고 양질 콘텐츠 만들어야 할 때”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글로벌 AI 시장에서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단순히 AI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보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백순욱 동국대학교 SW교육원
강사는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AI로 제작된 콘텐츠는
누구의 것인가’ 세미나에서 “한국이 AI 플랫폼의 경쟁에 뛰어드는 것은 이미 늦었다고 본다”라며
“지금은 우리가 가진 강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강화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백 강사는 “요즘 특강이나 세미나 등에 초청 받아서 참석하면
대부분 AI 발전에 대한 이야기만 하고 있는 거 같다”라며
“다만, 기술이 있어도 어디에 사용할지에 대한
목적이 없으면 콘텐츠는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백 강사는 IT 비전공자의 생성형 AI에 대한 공학적 이해를 높이고 이를 통해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백 강사는 “예를 들어
AI로 생성한 배우의 연기력을 평가할 때 공학자들이 배우의 연기를 공부해서 평가하는 것이 아닌 연기자들이 AI라는 도구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평가와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용이할 것”이라며
“이에 IT비전공자들이 공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을 전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야 된다”고 밝혔다.
계속해서 “현재 콘텐츠를 만드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미드저니, 소라 등과 같이 플랫폼의 기술력을 높이는데 돈과 시간을 쏟아붓는 것이 아닌 다양한 방면에 생성형 AI를 활용해 목적성을 높이는 것에 있다”이라며 “생성형 AI는 사용하는 사람의 소양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포텐셜(잠재성)을 중요하게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