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글로벌 AI 경쟁에서 뒤쳐져…AI 기반 콘텐츠 제작 역량 힘써야”
▶12일 국회 의원회관 'AI로 제작된 콘텐츠는 누구의 것인가' 세미나 개최
▶백순욱, “IT 비전공자의 공학적 이해 높이고 양질 콘텐츠 만들어야 할 때”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글로벌 AI 시장에서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단순히 AI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보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백순욱 동국대학교 SW교육원
강사는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AI로 제작된 콘텐츠는
누구의 것인가’ 세미나에서 “한국이 AI 플랫폼의 경쟁에 뛰어드는 것은 이미 늦었다고 본다”라며
“지금은 우리가 가진 강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강화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백 강사는 “요즘 특강이나 세미나 등에 초청 받아서 참석하면
대부분 AI 발전에 대한 이야기만 하고 있는 거 같다”라며
“다만, 기술이 있어도 어디에 사용할지에 대한
목적이 없으면 콘텐츠는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백 강사는 IT 비전공자의 생성형 AI에 대한 공학적 이해를 높이고 이를 통해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백 강사는 “예를 들어
AI로 생성한 배우의 연기력을 평가할 때 공학자들이 배우의 연기를 공부해서 평가하는 것이 아닌 연기자들이 AI라는 도구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평가와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용이할 것”이라며
“이에 IT비전공자들이 공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을 전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야 된다”고 밝혔다.
계속해서 “현재 콘텐츠를 만드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미드저니, 소라 등과 같이 플랫폼의 기술력을 높이는데 돈과 시간을 쏟아붓는 것이 아닌 다양한 방면에 생성형 AI를 활용해 목적성을 높이는 것에 있다”이라며 “생성형 AI는 사용하는 사람의 소양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포텐셜(잠재성)을 중요하게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박주인 의원! 한 입 가지고 두 말한 박주민 의원은 의원 자격없다. 즉각 사퇴하라!
2박주민 의원은 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김현아 회장님 앞에서 분명히 말했다.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을 폐쇄하고 탈시설 말하는 자립지원법안은 잘못된 법안이라고. 그렇게말했던 보건복지위 박주민 의원이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중증장애인들을 두번 울리는 박주민 의운을 강력히 규탄하면서, 자립지원법안을 폐지할 것을 촉구합니다!
3잘못된 법안은 불법입니다. 충분한 논의를 거쳐 현실에 맞는 법을 만들어야합니다. 중증발달장애인들에게는 자립지원법안은 생명을 위협하는 법안입나다.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죽음으로 몰고가는 사형법안입니다. 폐지 되어야합니다.
4사회적 약자를 위해 국가가 질좋은 복지를 고민하고 펼치라는 보건복지위. 그런데 박주민 의원은 사회적 약자 중에서도 의사표현도 못하는 최중증장애인들을 위험의 사각지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보건복지위는 자립지원법안을 즉각 폐기하라!
5진정한 민주주의는 약자와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사회입니다. 정부와 보건복지부는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왜 장애인을 위한 법안을 채택할때 장애인 중에서도 최 약체인 중증발달장애인의 의견은 외면합니까.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허울좋은 단어로 거주시설을 탈시설시키려는 보건복지부의 정책에 절망감을 느낍니다.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이 죽어나가야 합니까.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의 가족이 고통을 받아야 합니까. 추운 한겨울에 힘없고 나이많은 부모님들이 자식을 위해서 거리에 나와 이렇게 저항하는 소리를 들어주십시오. 얼마나 어떻게 해야 부당한 정책에 힘없고 불쌍한 중증장애인들을 자식으로 둔 부모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겠습니까. 제발 중증장애인들도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하지 마시고,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획일적인 법안을 채택하는 일은 없어야 할것입니다. 그것이 진정한 복지 민주주의를 꿈꾸는 국민들을 위한 길입니다!!
6김예지, 최보윤! 두 의원은 장애인 이기 때문에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국회의원이 되엇으면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법안을 발의해야 하거늘 발달장애인들을 상대로 활보사업해 돈벌이 하는 장차연들의 주장대로 자립지원법안을 발의했다. 허울만 장애인인 김예지 최보윤은 의원직을 당장 사퇴하라! 천벌을 받을 것이다!
724시간 전문복지사 돌봄이 필요한 중증장애인을 사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 폐기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