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도입, 한국경제 생산성 3%↑...성장 둔화 상쇄 가능
▷한은, 'AI와 한국경제' 보고서 발간
▷총요소 생산성·국내총생산 각각 3.2%,12.6% 증가
▷대기업에 더 큰 효과...노동시장 유연성 강화 필요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AI가 글로벌 혁신의 핵심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AI 도입이 한국경제의 생산성을 최대 3%이상 높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고령화와 노동공급 감소로 인한 성장 둔화를 상쇄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은행은 지난 10일 발간한 'AI와 한국경제'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AI 도입은 모든 시나리오에서 생산성 향상과 경제성장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나리오 3(노동 대체+노동보완+생산성 향상)에서 총요소생산성(TFP)와 국내총생산(GDP)가 각각 3.2%, 12.6% 늘었다.
이와함께 AI 도입을 통해 GDP 감소폭(2023년~2050년)을 16.5%에서 5.9%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한은은 AI도입에 따른 생산성 증대 효과는 대기업과 설립된 지 오래된 기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이라 전망했다.
다만 한은은 보고서에 "AI 도입 조치 단계에서 나타난 잠정적 결과이긴 하지만 AI 발전이 기업 간 생산성 격차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한은은 AI가 국내 일자리 절반 이상(51%)에 큰 영향을 미칠 거라 분석했다. 특히 여성, 청년층, 고숙련 및 고소득 집단에게 AI는 위기이자 기회라고 봤다. AI도입이 노동수요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새로운 기술적 역량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노동시장의 경직성과 이중구조는 근로자의 일자리 전환을 어렵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특히 고령층에게 큰 어려움이 될 것이라는 게 한은의 입장이다.
한은은 우리나라는 주요 선진국보다 AI 도입준비가 잘 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AI 준비지수는 165개 국 중 15위다. 특히 혁신·경제통합(3위), 규제·윤리(18위), 디지털 인프라(18위)에서 우수한 수치를 보였다. 반대로 '인적자본 및 노동시장 정책(24위)에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이에 한은은 보고서에 "(한국의) 인적저본 및 노동시장 정책에서 공교육 지출 확대와 디지털 역량 강화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면서 "AI도입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사회적 보호와 노동시장 유연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