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4%까지 도달한 미국 기준금리... 4차례 연속 '자이언트스텝'

▷ 미국 FOMC, 기준금리 0.75% 인상
▷제롬 파월 의장, 금리 인상 의지 재확인
▷ "금리 인상의 영향 알고 있다... 물가 안정 위해 최선을 다할 것"

입력 : 2022.11.03 13:30 수정 : 2024.06.03 17:15
[외신] 4%까지 도달한 미국 기준금리... 4차례 연속 '자이언트스텝'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미국의 연방준비위원회(FOMC)가 자신이 한 말을 지켰습니다. 미 현지시각으로 지난 2, FOMC는 기준금리를 0.75% 올렸습니다.

 

4차례나 연속적으로 자이언트스텝을 감행한 셈입니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3.75~4.00%가 되었으며, 우리나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3.00%)0.75~1.00%의 차이가 벌어졌습니다.

 

 금리가 역전된 이상, 원화 가치를 보호하고 외국인 자본이 빠져나가는 걸 막기 위해서 한국은행 역시 조만간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입니다.

 

제롬 파월 의장은 지난 2(현지시각) 열린 기자회견에서 물가 안정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책임이며, 미국 경제의 기반이라며, 물가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 曰 물가 안정 없이 경제는 아무에게도 효과가 없다. 특히, 물가 안정 없이는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강력한 노동시장 여건을 지속할 수 없을 것이다.” (“Without price stability, the economy does not work for anyone. In particular, without price stability, we will not achieve a sustained period of strong labor market conditions that benefit all”)


물가 안정을 위해 FOMC는 기준금리를 0.75% 인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은 “(금리의) 지속적인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 재정 긴축의 의지를 재확인했는데요.

 

인플레이션을 2% 수준으로 되돌리기까지 FOMC의 금리 인상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제롬 파월 의장 曰 물가를 안정시키려면 당분간 제약적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할 것 같다”(“Restoring price stability will likely maintaining a restrictive stance of policy for some time”)

 

★ ‘제약적정책 기조(restrictive stance of policy)

이른바 재정 긴축 정책, 금리를 중립금리 이상으로 올려 통화수요를 억제하는 것.

국가가 돈을 적극적으로 거둬들이고 있음을 보여주는 정책

 

파월 의장은 현 미국 경제를 부정적으로 진단했습니다.

 

그는 미국 경제가 지난해 빠른 속도보다 크게 둔화되었다, 실질 GDP는 지난 분기에 2.6%의 속도로 증가했으나, 올해엔 아직까지 변동이 없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어 소비자 지출은 작년의 빠른 속도보다 둔화되으며, 부분적으로는 실질 가처분 소득 감소와 재정 상황 악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는데요.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우리의 장기적 목표이니 2%를 훨씬 웃돌고 있다,지난 9월로부터 1년간 합계 PCE(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6.2%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최근의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다시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었다고 덧붙였는데요.

 

제롬 파월 의장 曰 나와 내 동료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이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좀먹음으로써 심각한 고난을 가져온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특히, 음식, 주거, 교통 같이 필수품들의 높은 비용을 감당할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에겐 더더욱 그렇다” (“My colleagues and I are acutely aware that high inflation imposes significant hardship as it erodes purchasing power, especially for those least able to meet the higher costs of essentials like food, housing, and transportation.”)

 

다만, 파월 의장은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었으며 인플레이션이 악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노동시장은 상당히 타이트(tight)’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실업률은 50년 만에 최저 수준이고, 일자리는 여전히 많으며, 임금 상승률은 높다는 이야기인데요.

 

제롬 파월 의장 曰 고용은 지난 8월과 9월 사이 월 평균 289,000개의 일자리가 증가하는 등 견실했다.” (“Job gains have been robust, with employment rising by an average of 289,000 jobs per month over August and September.”)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2% 대로 되돌리기 위한 충분한 제약적 정책 기조를 유지하려면 연방기금 금리의 목표 범위를 지속적으로 인상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특히, 인플레이션에 대해 통화 억제 정책이 완전한 효과를 보기 위해선 시간이 걸린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충분한 제약적 금리 수준에 접근함에 따라, 인상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해 보인다고 전했습니다만,우리는 아직 갈 길이 남아있으며, 지난 회의 이후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보면 궁극적인 금리 수준이 이전에 예상한 것보다 높을 것으로 보인다.며 속단하지 않았습니다.

 

파월 의장은 우리의 결정은 들어오는 데이터와 그들(금리)이 경제 활동 및 인플레이션 전망에 미치는 영향에 달려있다”(“Our decisions will depend on the totality of incoming data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outlook for economic activity and inflation.”)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 曰 결론적으로, 우리는 우리의 행동이 전국의 지역사회와 가족 및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고 있다.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은 우리의 공적인 목표를 위해 봉사하는 것이다. 연방준비위원회는 최대 고용 및 물가 안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To conclude, we understand that our actions affect communities, families, and businesses across the country. Everything we do is in service to our public mission. We at the Fed will do everything we can to achieve our maximum employment and price stability goals”)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5

Best 댓글

1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

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

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

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

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

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

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