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9월 한국 주식∙채권 약 3.2조원 팔아…이유는?
▷두 달 만에 다시 순유출…주식자금만 2조 3000억원
▷미국 등 주요국 긴축 강화와 유럽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
▷”더 높은 수익률을 쫒아 투자금 뺄 가능성 높아”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주요국 긴축 강화 우려, 유럽지역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의 영향으로 순유출로 전환됐습니다. 주식자금은 두 달 만에 다시 순유출로 전환됐고 채권자금도
순유출세가 이어졌으나 유출규모는 감소했습니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9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9월 기준 22억 5000만 달러가 순유출 됐습니다. 현재 원/달러 기준으로 약 3조
2204억 규모입니다. 6월(-7억 7000만 달러)이후
7월(37억 달러)과
8월(17억 1000만달러) 연속으로 자금이 들어오다가 다시 순유출로 돌아섰습니다.
주식자금은 16억 5000만
달러(약 2조 3000억)가 순유출됐습니다. 6월(-30억
1000만 달러) 이후 두 달 만입니다. 채권자금은 6억 4000만
달러(약 9171억)가
순유출됐습니다. 8월(-13억 1000만 달러)보다 6억
7000만 달러(약 9597억) 적은 수치입니다.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빠져나간 이유는 외국인들이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서 대규모 매도에 나섰기 때문입니다. 한은은 “미국을 중심으로 주요국이 긴축 정책을 펼치고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유럽지역 내 지정학적 리스크가 증대됐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실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최근 석 달 연속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p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약 0.25%p입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신흥국의 외국인 자금을 빠져나갈 수밖에 없습니다.
선진국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데 금리 매력까지 있으면 투자금이 머물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여전히 미국 기준금리가 높은 상황에서 외국인이 더 높은 수익률을 쫒아 투자금을 뺄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