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한은, ‘빅스텝’ 단행…10년 만에 기준금리 3% 시대
▷연 2.50%에서 3.00%로 인상
(출처=한국은행)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지난 7월 이후 석 달 만에 다시 빅스텝(기준금리 0.5%p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10년 만에 다시 3%대로 돌아왔습니다.
금통위는 12일 오전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를 3.00%로 인상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했습니다. 3% 기준금리는 2012 10월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고, 지난 4월
이후 계속된 다섯 차례 연속 인상도 역사상 최초 기록입니다.
금통위가 이런 결정을 내린 데에는 계속되는 높은 물가 오름세와 환율 상승이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금통위는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환율 상승으로 인해
물가의 추가 상승압력과 외환부문의 리스크가 증대되고 있는 만큼 정책 대응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 격차 확대도 빅 스텝 결정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빅 스텝 직전까지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최대 0.75%p였습니다.
금통위가 이날 베이비스텝(0.25%p 포인트 인상)을 했다면, 두 나라의 금리 차이가 1.25%p까지 커질 수 있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쫒아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통위는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간다”면서 “향후 금리 인상의
폭과 속도는 인플레이션, 주요국 퉁화정책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